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국민 10명 중 6명은 올해 하반기나 2023년 상반기 내에 주택을 매입할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7일 직방이 자사 애플리케이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1832명 중 64.6%가 올해 하반기나 2023년 상반기 내에 주택을 매입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2020년 조사를 시작한 이후 매입 계획이 있다는 응답 비율 감소세가 멈추고 지난해 말 조사했던 시점 대비 0.5%포인트(p) 소폭 상승했다.
거주 지역별로는 ▲경기 66.5% ▲지방 65.6% ▲인천 64.2% ▲서울 62.2% ▲지방5대광역시 62.0% 순으로 매입 의사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작년 말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인천 거주자의 주택 매입 의사가 있다는 응답 비율이 각각 5.0%포인트(P), 2.1%P 증가했다. 경기는 동일했고, 지방 5대 광역시와 지방은 작년 말 조사보다 매입하겠다는 응답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수도권 매수 기대 심리가 더 커진 것이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 67.9% ▲50대 67.4% ▲30대 64.0% ▲40대 62.6% ▲20대 이하 52.9% 순으로 주택 매입 의사가 있다는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작년 말 조사와 비교한 결과 20대 이하, 50대, 60대 이상 등에서 매입 의사가 있다는 응답 비율이 소폭 증가했다.
하반기부터 내년 상반기까지 주택 매입을 계획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전,월세에서 자가로 내집마련’(43.1%)을 꼽았다. 그 다음 이유로는 ▲거주 지역 이동(19.2%) ▲면적 확대,축소 이동(16.5%) ▲본인 외 가족 거주(6.7%) ▲시세 차익 등 투자 목적(6.3%) 등의 순으로 답했다.
반면 주택 매입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649명에게 이유를 물은 결과 ‘주택 가격이 너무 비싸서’(29.6%)라는 대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향후 가격이 하락할 것 같아서 27.0% ▲거주·보유 주택있고 추가 매입 의사 없어서 17.9% 순으로 응답이 많았다. 새 정부 부동산 정책 변화를 지켜보려고(8.6%),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부담이 커져서(7.9%)란 응답도 있었다.
직방은 "최근 금리가 계속 인상되면서 대출 규제에 대한 이자 부담도 커져 주택 매도나 매물 정리를 하려는 움직임도 있을 전망"이라며 "다만 새 정부의 부동산 정책 방향에 따라서 매수·매도자들의 향방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