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9 화요일
흐림 서울 27˚C
맑음 부산 26˚C
흐림 대구 27˚C
흐림 인천 27˚C
흐림 광주 27˚C
흐림 대전 26˚C
흐림 울산 26˚C
흐림 강릉 27˚C
흐림 제주 28˚C
산업

미국-베트남, 46%서 20%로 관세 타결…한국 기업 '예의주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인규 기자
2025-07-04 10:16:25

'관세 셈법' 바빠진 한국…美ㆍ베트남 무역합의 여파 주목

인도 등 후속 협상 결과 따라 기업 전략 재조정 불가피

한국 정부, 여한구 본부장 중심 협상단 워싱턴 급파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지난 2일 베트남과 새로운 무역 협상에 합의하고 베트남산 수입품에 대한 상호 관세를 기존 46에서 20로 낮추기로 했다 사진은 지난 4월 베트남 북부 하이퐁항港에서 수출용 컨테이너가 선적되고 있는 모습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지난 2일 베트남과 새로운 무역 협상에 합의하고 베트남산 수입품에 대한 상호 관세를 기존 46%에서 20%로 낮추기로 했다. 사진은 지난 4월 베트남 북부 하이퐁항(港)에서 수출용 컨테이너가 선적되고 있는 모습.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베트남에 20%의 상호 관세를 부과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영국에 이은 두 번째 상호 관세 합의로 아시아 국가 중에는 처음이다. 다만 품목 관세가 더해지면 낮은 수준이 아닌 데다 베트남의 10%대 관세 합의가 가능할 거라 예상해왔던 한국 기업들은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베트남과 새로운 무역 합의를 타결했다"며 "베트남산 상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기존에 예고했던 46%에서 20%로 낮춘다"고 밝혔다.

미국-베트남 무역 협상이 타결되면서 우리 정부도 관세 협상에 적극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한국 협상단은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을 대표로 팀을 꾸려 이번 주말 워싱턴으로 급파한다. 

베트남에 주요 생산 기지를 둔 한국 기업들은 관세가 절반 이하로 줄어들어 다행이지만, 추후 인도 등 다른 국가 관세율이 베트남보다 낮으면 베트남 내 생산 중단이나 물량 축소로 이어질 수 있다며 우려를 표하고 있다.

게다가 기본 관세율 20%에 반도체 등 품목 관세가 더해지면 베트남에 생산 거점을 두고 미국에 수출하는 기업들은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

현재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에 25%, 철강 및 알루미늄에 50%의 품목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향후 반도체와 스마트폰 등 정보기술(IT) 제품에도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한국의 상호 관세 협상과 품목별 관세 부과에 따른 변수가 아직 남은 만큼 기업들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다만 새 정부의 강력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적절한 협상이 가능하지 않겠냐는 전망도 나온다.

한 기업 관계자는 "베트남의 상호관세는 20%지만 추후 품목별 관세가 더해지면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다른 나라의 협상 결과와 품목별 관세 그리고 한국의 협상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한미그룹
우리은행_1
우리은행_2
KB금융그룹_1
미래에셋자산운용
국민카드
한화
KB_1
삼성자산운용
동국제약
KB금융그룹_3
신한은행
하나금융그룹
농협
KB금융그룹_2
IBK
메리츠증권
종근당
kb_3
부영그룹
kb_2
SK증권
kb
KB
농협
NH농협
신한투자증권
롯데
신한금융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