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재관IT온라인부
seon@economidaily.com
기사 제보하기
최신기사
-
-
-
-
-
-
[CES 2025] 엔비디아, 로봇·자율주행 개발 혁신 가속화…물리적 AI 플랫폼 '코스모스' 공개
인공지능(AI) 칩 분야의 선두주자인 엔비디아가 6일(현지시간) 로봇과 자율주행차 개발을 획기적으로 가속화할 새로운 플랫폼 ‘코스모스(Cosmos)’를 공개하며 주목받고 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CES 2025 기조연설에서 “물리적 AI 개발의 민주화를 촉진할 것”이라고 강조하며 코스모스의 출시를 발표했다. 물리적 AI는 로봇, 자율주행차 등 물리적 세계와 상호작용하는 AI 시스템을 의미한다. 코스모스는 이러한 시스템들이 방대한 양의 실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젠슨 황 CEO는 “물리적 AI 모델은 개발 비용이 높고, 방대한 실제 데이터와 테스트가 필수적”이라며 코스모스가 개발자들에게 이러한 데이터를 손쉽게 생성하고 맞춤형 모델을 구축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코스모스는 최신 생성형 AI 모델, 텍스트를 모델이 이해할 수 있는 작은 단위인 토큰으로 분리하는 도구인 최신 토크나이저, 그리고 데이터 처리를 가속화하는 영상 처리 파이프라인으로 구성된다. 특히 이 플랫폼은 2천만 시간 분량의 영상을 단 14일 만에 처리할 수 있는 놀라운 속도를 자랑한다. 이는 CPU만 사용하는 경우 3.4년이 걸리는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하는 혁신적인 성능이다. 또한 토크나이저의 처리 속도 역시 기존 방식보다 12배 더 빠르다고 황 CEO는 강조했다. 황 CEO는 “로봇 공학 분야에 챗GPT와 같은 혁신이 다가오고 있다”며 “대규모 언어 모델(LLM)처럼 코스모스는 로봇 및 자율주행차 개발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애자일로봇, 피규어 AI, 뉴라 로보틱스, 애질리티, 힐봇 등 주요 로봇 기업들과 자율주행 스타트업 와비, 자동차 제조사 샤오펑, 차량 공유 서비스 우버 등이 이미 이 플랫폼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황 CEO는 “코스모스는 물리적 AI의 대중화를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모든 개발자가 범용 로봇 공학 기술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엔비디아가 코스모스를 통해 물리적 AI 생태계를 확장하고 혁신을 가속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2025-01-07 16:23:31
-
-
-
-
LCK, 새로운 시작 알리는 '2025 LCK컵' 15일 개막
‘리그 오브 레전드(LoL)’ 이스포츠의 한국 프로 리그인 LCK가 새로운 시도를 담은 ‘2025 LCK컵’을 오는 15일 서울 종로구 롤파크 LCK 아레나에서 개막한다고 7일 밝혔다. LCK 역사상 처음으로 개최되는 이번 컵 대회는 기존 리그와는 다른 새로운 방식과 볼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LCK컵은 여러 가지 새로운 요소로 팬들에게 신선함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챔피언 선택 및 금지 방식인 ‘피어리스 드래프트(Fearless Draft)’의 도입이다. 이전 세트에서 양 팀이 선택했던 챔피언을 다음 세트에서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방식으로 2024년 LCK 챌린저스 리그에서 이미 선보여 팬들의 호응을 얻은 바 있다. 3전 2선승제로 진행되는 경기에서 3세트까지 갈 경우 양 팀은 최대 20개의 챔피언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더욱 전략적인 선택이 중요해진다. 만약 5세트까지 진행될 경우에는 사용 불가능한 챔피언의 수는 50개까지 늘어난다. 이러한 변화는 팀들이 더욱 다양한 챔피언과 조합을 활용하도록 유도하며 팬들에게는 다채로운 경기 양상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대회는 그룹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며 지난 해 서머 시즌 성적을 기준으로 한화생명e스포츠와 젠지가 각 그룹의 대표가 되어 팀을 선정했다. 그 결과 바론 그룹은 한화생명e스포츠, T1, BNK 피어엑스, DN 프릭스, OK저축은행 브리온으로 구성되었고, 장로 그룹은 젠지, 디플러스 기아, KT 롤스터, 농심 레드포스, DRX로 편성되었다. 같은 그룹에 속한 팀들의 성적을 합산하여 플레이오프 진출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에 평소에는 경쟁하던 팀들이 서로 협력하고 응원하는 새로운 모습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승리한 그룹의 상위 3개 팀은 플레이오프에 직행하며 나머지 팀들은 플레이-인을 거쳐 플레이오프 진출을 놓고 경쟁한다. 특히 이번 LCK컵의 우승팀은 2025년부터 새롭게 신설되는 국제 대회인 ‘퍼스트 스탠드(First Stand Tournament)’에 LCK 대표로 출전하는 영광을 안게 된다. 이는 LCK 팀들에게 새로운 국제 무대에서의 경쟁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팬들에게는 더욱 풍성한 볼거리를 선사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대회에는 다른 지역에서 활동하다가 LCK로 복귀한 선수들과 LCK 챌린저스에서 콜업된 새로운 얼굴들도 만나볼 수 있다. ‘룰러’ 박재혁, ‘버서커’ 김민철, ‘유칼’ 손우현, ‘덕담’ 서대길, ‘빅라’ 이대광 등 해외에서 활약했던 선수들의 복귀는 팬들의 기대를 모으고 있으며 ‘함박’ 함유진, ‘하이프’ 변정현, ‘웨이’ 한길 등 챌린저스 리그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여준 신예들의 활약 역시 주목할 만하다. 또한 BNK 피어엑스에서 선수로 활동했던 ‘프린스’ 이채환이 한국어 중계진에 합류하여 해설 위원 및 분석 데스크로 활동할 예정이다. 한편 2025 LCK컵은 15일 오후 5시 OK저축은행 브리온과 DRX의 경기로 시작되며 그룹 대항전은 내달 2일까지 진행된다. 이후 플레이-인은 2월 7일부터 9일까지 플레이오프는 12일부터 시작되어 23일 결승전으로 마무리된다.
2025-01-07 11:05:45
-
[CES 2025] 이종민 SK텔레콤 부사장, "AI, 실질적 효용 입증하는 시대"
SK텔레콤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전자제품 박람회 ‘CES 2025’에서 혁신적인 인공지능(AI) 기술과 서비스를 선보이며 AI 기술 저변 확대에 나섰다. 이종민 SK텔레콤 미래 R&D 담당 부사장은 “AI가 실질적으로 액팅(Acting)하는 시대가 됐다”고 강조하며, 올해 CES에서 AI의 실질적인 효용을 입증하는 서비스들이 대거 등장했다고 평가했다. 6일(현지시간) 라스베이거스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이 부사장은 올해 CES의 5대 트렌드로 △버티컬 AI △디지털 헬스 △모빌리티 △로봇공학 △지속가능성 및 보안을 꼽았다. ‘버티컬 AI’는 특정 산업이나 분야에 특화된 AI 기술을 의미한다. 이 부사장은 AI 서비스가 실질적인 효용을 입증해야 시장에서 선택받을 수 있으며, 반대로 효능을 입증하면 엄청난 성장을 이룰 것이라고 전망하며, 올해 시장의 평가가 냉정하게 이루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SK 그룹은 SK하이닉스, SK텔레콤, SKC, SK엔무브 4개 계열사가 ‘혁신적인 AI 기술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든다’는 주제로 공동 부스를 운영한다. 이 중 SK텔레콤은 AI 데이터센터(DC)와 해외 시장을 겨냥한 AI 에이전트 ‘에스터(Aster)’를 전면에 내세웠다. 특히, 북미 시장 출시를 준비 중인 ‘에스터’는 단순 검색 및 질의응답을 넘어 사용자의 요청을 인식하고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AI 비서 역할을 수행한다. SK텔레콤은 AI DC 내 분산 발전원 설치를 통한 전력 공급 기술, 액체를 활용한 발열 관리(액체 냉각) 기술, AI DC 인프라 매니저(운영), AI DC 시큐어 에지(보안) 등 AI 데이터센터 솔루션과 더불어 NPU(신경망처리장치) 기반 리벨리온의 AI 가속기도 함께 전시한다. SK하이닉스는 HBM3E 16단 샘플과 기업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eSSD) 등 업계 최고 수준의 메모리 기술력을 선보이며, 차세대 데이터센터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을 CXL 및 PIM, 이를 모듈화한 CMM(CXL Memory Module)-Ax, AiMX도 공개한다. 이 부사장은 “SK 그룹이 지난해 ‘AI의 가능성’에 중점을 두었다면, 올해는 실질적으로 그 가능성을 넘어 AI 프로세서, 하드웨어, GPU, 에너지 솔루션을 더욱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AI 저변을 만들어가는 기술들을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SK텔레콤은 이번 CES 2025를 통해 AI 기술의 실질적인 효용성을 강조하며, AI 생태계 확장에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2025-01-07 10:42:38
-
KT, 장기 고객 대상 '초대드림' 혜택…모나 용평 스키장으로 초대
KT가 2025년 새해를 맞아 장기 이용 고객들을 위한 특별한 선물 ‘초대드림’ 혜택을 7일 공개했다. ‘초대드림’은 KT가 오랜 기간 서비스를 이용해 온 고객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마련한 특별 우대 프로그램으로 스포츠, 축제, 캠핑 등 다채로운 문화 이벤트를 통해 고객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이번 1월의 ‘초대드림’은 겨울 시즌을 맞아 ‘모나 용평 스키장 초청’이라는 특별한 혜택을 준비했다. 1월부터 3월 사이에 이용 가능한 모나 용평 1박 숙박권과 더불어 스키 반일 렌탈 및 리프트 반일권이 제공된다. 특히, 다양한 가족 구성원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2인 가족에게는 호텔 디럭스 타입, 3인 가족에게는 타워콘도 18타입, 4인 가족에게는 빌라콘도 28타입의 숙박 시설을 제공하여 고객 맞춤형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2인부터 4인 가족 모두 겨울 스포츠인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를 즐길 수 있도록 반일 렌탈권과 리프트권을 함께 제공한다. ‘초대드림’ 응모는 KT 모바일, 인터넷, TV 상품을 합산하여 5년 이상 이용한 고객이라면 누구나 KT닷컴 내 ‘장기고객 감사드림 프로그램’ 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오랜 기간 KT를 이용해 준 고객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취지인 만큼 참여 조건 또한 장기 이용 고객으로 한정했다. 이번 이벤트의 또 다른 주목할 만한 점은 응모에 참여했으나 아쉽게 당첨되지 못한 고객들에게도 특별한 혜택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른바 “꽝이어도 괜찮아” 혜택으로 모나 용평의 숙박, 스키 렌탈, 리프트권을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응모 기간은 1월 16일(목)까지이며 당첨자는 1월 20일(월)에 개별적으로 안내받게 된다. 권희근 KT 마케팅혁신본부 상무는 “감사의 마음을 담아 응모한 모든 KT 고객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기획했다”며 “2025년에도 분기별로 특별하고 만족도 높은 혜택들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2025-01-07 10:2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