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믹데일리]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이 인공지능(AI)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기능을 결합한 ‘슈퍼 플랫폼’으로의 대대적인 변신을 선언한다. 카카오는 23일부터 사흘간 경기도 용인 AI 캠퍼스에서 열리는 연례 기술 콘퍼런스 ‘이프카카오(ifkakao) 2025’에서 그 청사진을 처음으로 공개한다.
올해로 7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의 핵심은 단연 카카오톡의 전면 개편이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지난 2분기 실적발표에서 “카카오는 단순 메신저를 넘어 콘텐츠 탐색과 소셜 플랫폼으로 진화한다”고 예고했듯 단순 친구 목록이었던 첫 번째 탭은 지인의 소식을 모아보는 피드형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세 번째 탭에는 숏폼 비디오 서비스가 새롭게 도입된다. 카카오는 이를 통해 카카오톡 체류 시간을 20% 이상 늘리고 4분기 톡비즈 광고 매출을 전년 대비 10% 이상 성장시키겠다는 구체적인 목표도 제시했다.
카카오의 또 다른 승부수는 AI다. 카카오는 ‘모두의 AI’라는 기치 아래 카카오톡을 전 국민의 AI 접점으로 만들 계획이다. 특히 오픈AI와 공동 개발 중인 서비스가 주목된다. 이용자들이 친구와 대화하듯 카카오톡 안에서 자연스럽게 챗GPT의 기능을 활용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정 대표는 “AI 서비스 경험이 없던 이용자들도 친구와의 채팅 중에 챗GPT 검색 결과를 공유 받거나 하루에도 수십 번 접속하는 핵심 지면에서 챗GPT와 마주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관심을 가지고 유입되는 낙수효과 역시 기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이프카카오 행사 첫날인 23일 정 대표는 ‘가능성, 일상이 되다’를 주제로 한 기조연설을 통해 직접 카카오의 비전을 발표한다. 이어 홍민택 최고제품책임자(CPO)가 카카오톡의 구체적인 변화상을 유용하 AI 에이전트 플랫폼 성과리더 등 AI 분야 핵심 개발진이 오픈AI 협업 성과와 자체 AI ‘카나나’ 개발 전략 등을 차례로 공개할 예정이다. 카카오는 이번 행사를 통해 ‘AI 대전환기’의 본격적인 출발을 알리겠다는 포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