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3 수요일
맑음 서울 33˚C
구름 부산 31˚C
흐림 대구 33˚C
맑음 인천 30˚C
맑음 광주 31˚C
흐림 대전 32˚C
흐림 울산 29˚C
흐림 강릉 28˚C
흐림 제주 28˚C
IT

KT, 서울대·KAIST와 AICT 공동연구 착수…핵심 AI 기술 개발 협력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선재관 기자
2025-09-03 11:04:31

KT '믿:음 2.0', 서울대·KAIST 두뇌 만난다

'한국적 AI' 생태계 구축 가속

KT와 연구원들이 연구 과제를 소개하고 토론하는 모습사진KT
KT와 연구원들이 연구 과제를 소개하고 토론하는 모습[사진=KT]

[이코노믹데일리] KT가 서울대학교, KAIST와 손잡고 ‘AICT(AI+ICT)’ 핵심 기술 공동 연구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학계의 심층 연구 역량과 기업의 사업화 경험을 결합해 글로벌 AI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KT는 3일, 서울 서초구 KT 우면연구센터에서 양 대학 연구진과 함께 킥오프 워크숍을 열고 향후 1년간 협력할 연구 과제와 방향성을 논의했다. 이번 공동 연구는 KT의 전략적 ‘오픈 R&D’의 일환으로 실제 사업과 직결될 수 있는 핵심 기술 개발에 집중하는 것이 특징이다.

연구 분야는 △자율형 에이전트 △피지컬 AI △책임감 있는 AI(Responsible AI) △인간 피드백 기반 강화학습(RLHF) △추론 효율화 등이다. KT는 자사의 파운데이션 모델 ‘믿:음 2.0’을 비롯해 GPU, 데이터 등 연구에 필요한 자원과 환경을 제공한다.

서울대학교는 인간 중심의 신뢰성 높은 AI 기술 고도화를 목표로 자율형 에이전트, 책임감 있는 AI 평가 기준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KAIST는 프롬프트 압축 및 최적화 기술을 통해 대규모 언어모델(LLM)의 효율성과 정확도를 높이는 핵심 기술 개발을 맡는다.

 
김종철 KT 기술혁신부문 AI Future Lab 상무가 산학 공동연구 운영 방향과 계획을 공유하는 모습사진KT
김종철 KT 기술혁신부문 AI Future Lab 상무가 산학 공동연구 운영 방향과 계획을 공유하는 모습.[사진=KT]

KT는 이번 공동 연구를 통해 확보한 기술을 ‘믿:음 2.0’ 고도화와 한국적 AI 라인업 강화에 활용하고 이를 공공, 금융, 의료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해 데이터-모델-서비스로 이어지는 정교한 AI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오승필 KT 기술혁신부문장 부사장은 “이번 산학 협력은 KT가 해결하고자 하는 핵심 문제들을 중심으로 사업에 빠르게 적용 가능한 과제들로 구성됐다”며 “국내 AI 산업 전반에도 긍정적인 파급 효과로 확산될 것”이라고 밝혔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