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2 일요일
맑음 서울 10˚C
구름 부산 16˚C
흐림 대구 15˚C
구름 인천 10˚C
구름 광주 15˚C
맑음 대전 12˚C
맑음 울산 15˚C
맑음 강릉 10˚C
흐림 제주 18˚C
IT

IT·게임업계도 주 52시간제 근무 개편에 촉각...인건비 부담 '우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종형 기자
2022-12-14 14:43:31

尹 정부, 초과근무 관리 단위 주 단위서 연 단위로 변경 검토...주당 최대 40.5시간 초과 근무 가능

인건비 비중 큰 게임 및 IT 업계서 주목...앞서 尹 등 업계서 관련 발언하기도

"이직, 프로젝트 많은 업계 특성상 개편 쉽지 않을 것" 전망도

개발자 업무 모습[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코노믹데일리]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는 주52시간 근무제 개편에 정보기술(IT) 업계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현행 주 52시간 근무제를 월·분기·반기·연 단위까지 확대하는 내용의 개편안으로 고치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

앞서 미래노동시장연구회는 지난 12일 초과근무 관리 단위를 현행 주 단위에서 최대 연 단위로 바꾸는 노동정책 권고안을 정부에 냈다. 이에 따르면 현행법에서는 일주일간 근로시간이 40시간을 넘을 수 없지만 사용자와 근로자가 합의하면 1주일에 최대 12시간 연장근로가 가능하게 된다.

연장근로의 단위 기간을 월 단위로 확대하면 1달치 연장근로시간에 해당하는 52시간을 한 달 범위 안에서 몰아 쓸 수 있다. 근로기준법에는 1주일에 7일 근무하면 안 된다는 조항이 없기 때문에 최대 40.5시간까지 초과 근무가 가능해진다.

이번 근무제 개편은 사용자와 근로자 모두가 주목하고 있다. 그 중 게임업체에서는 근로제 개편과 관련해 토씨 하나까지 놓치지 않으려는 모양새다. 윤석열 대통령이 과거 대선후보 시절 스타트업에서 일하는 청년들을 방문해 "게임 개발에 1주 120시간은 바짝 일해야 한다"는 발언을 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도 올해 게임업계와 가진 첫 간담회에서 "주 52시간제의 합리적 운영을 위해 지혜롭게 대처하겠다"는 말을 했다.

생산시설 및 유지보수비용이 없지만 개발 및 운영 인력이 다수 필요한 업계 특성상 주 비용은 인건비다. 실제로 복수 게임업체들의 3분기(7~9월)까지의 실적을 살펴보면 마케팅 및 인건비용 지출이 전체 지출 중 1~2위를 다퉜다. 게임업체 외 네이버와 카카오도 2분기(4~6월) 기준 지난해 대비 인건비가 20% 이상 늘었다.

국내 한 게임업체 관계자는 "개발업체가 몰려있고 교류가 잦은 업계 특성상 한 업체가 인건비 지출을 늘리면(근로자 급여 등을 높이면) 소문이 나 다른 업체들도 안 올릴 수 없다"고 전했다. 지난해 전직원 연봉을 1200만원 일괄 인상했던 중견 게임업체 베스파는 지난 7월 비용 증가에 못이겨 전직원 권고사직에 나서기도 했다. 업계에선 근무제가 개편으로 근로자 급여 등에 변화가 있을지 지켜보고 있다.

또 다른 게임업체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가 보편화되면서 근무시간과 휴식시간이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며 "회사에 꼭 출근해야 하는 일도 있지만, 이직과 프로젝트별 업무가 많은 IT·게임업계에서는 연단위의 근무제 개편이 쉽게 이뤄지진 않을 것"이라 전망하기도 했다.

한편 고용노동부는 미래노동시장연구회 권고를 그대로 받아들일지 추가적 의견 수렴을 더 거칠지 논의 중이다. 이르면 내년 초쯤 접우안과 입법 일정 등이 구체적으로 발표될 전망이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NH투자증
DB손해보험
교촌
한국투자증권
씨티
KB국민은행
포스코
신한투자증권
삼성전자
SC제일은행
삼성증권
롯데캐슬
스마일게이트
카카오
우리은행
db
한화투자증권
삼성화재
신한금융지주
하나금융그룹
신한은행
NH
한화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