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13건
-
"올겨울 아우터, 길어지거나 짧아지거나"
[이코노믹데일리] 올겨울 아우터 시장에서 ‘롱코트 vs 숏패딩’ 양극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25일 LF에 따르면 소비자들이 아우터를 보다 목적성 있게 선택하면서, 격식을 갖춘 자리는 ‘더 긴 코트’, 일상·여가에서는 ‘더 짧은 패딩’으로 선호가 분리되는 흐름이 강화되고 있다. LF몰 검색 데이터에서도 이러한 변화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지난 10월 1일부터 11월 24일까지 ‘롱코트’ 검색량은 전년 대비 170% 폭증, 특히 ‘맥시 롱코트’가 처음으로 인기 검색어에 등장할 정도로 기장감이 긴 스타일의 수요가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숏패딩’ 검색량도 48% 증가하며 두 제품군으로 소비자 관심이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경향은 기능·역할 중심의 목적성 소비에 기반한 것으로 분석된다. 롱코트는 실루엣과 디테일을 중시하는 ‘격식 아우터’, 숏패딩은 경량성과 활동성이 중요한 ‘캐주얼 아우터’로 구분되며, 양쪽 모두 자신의 강점을 최대한 부각한 제품들이 인기를 얻고 있다. 이에 브랜드별 움직임도 빠르다. 여성 컨템포러리 브랜드 아떼 바네사브루노는 롱코트 물량을 전년 대비 3배 확대, 숏패딩 물량도 2배 이상 늘리며 다양한 소재를 적용했다. 주요 제품들은 출시 1주일 만에 리오더에 들어갈 정도로 반응이 빠르다. 프랑스 럭셔리 브랜드 이자벨마랑은 롱코트 스타일을 전년보다 2.5배 확대하고 테일러링 코트 비중을 늘렸다. 숏패딩에서는 페이크퍼·탈착 소매 등 디자인 차별화를 강화하며, 체크 롱코트와 페이크퍼 숏패딩은 이미 판매율 97%를 기록했다. 이탈리아 디자이너 브랜드 포르테포르테는 자카드·모헤어·헤링본 등 텍스처 중심 롱코트 물량을 40% 확대했고, 대표 상품인 ‘모아레 자카드 코트’는 빠르게 판매되며 주력 제품으로 자리 잡았다. MZ세대에게 인기 높은 던스트도 베스트셀러 코트 라인을 강화해 ‘맥시 롱코트’ 수요에 대응 중이다. ‘핸드메이드 캐시미어 머플러 롱코트’ 등은 시즌 초반부터 높은 판매율을 기록하고 있다. 한편 숏패딩은 캐주얼·스포츠 브랜드 중심으로 생산이 확대됐다. TNGT는 숏패딩 스타일을 20%, 물량을 50% 늘렸으며, 유럽산 구스다운을 적용한 푸퍼 숏패딩은 초도 물량과 1차 예약분이 3주 만에 완판돼 2차 예약 판매 중이다. 리복은 1020 여성층을 겨냥해 크롭 패딩을 강화하며 숏패딩 매출이 전년 대비 20% 이상 성장했다. 하이엔드 아웃도어 브랜드 티톤브로스도 숏 스타일 비중을 확대한 가운데, 10데니어 발수 나일론·850필파워 구스다운 등 고급 소재를 앞세운 숏패딩은 출시 3주 만에 두 차례 리오더가 이뤄졌다. LF는 “올겨울 아우터 시장은 ‘매우 긴 코트’와 ‘매우 짧은 패딩’이라는 명확한 이중 구도가 자리 잡았다”며, "앞으로도 기장·실루엣·소재 차별화를 통한 경쟁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5-11-25 14:23:02
-
-
-
-
-
-
-
-
-
-
식음료업계에 부는 '저저익선' 트렌드…MZ세대 '충성고객' 됐다
[이코노믹데일리] 최근 식음료업계에 ‘저저익선(低低益善)’ 트렌드가 확산하고 있다. 설탕·나트륨·카페인·지방 등 성분을 줄이거나 배제한 제품이 잇따라 출시되면서 MZ세대(1980년대~2000년대 초반 출생)를 중심으로 관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모습이다. 이는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문화가 확산되고, 식음료 선택에서도 자신의 취향과 니즈를 세밀하게 따지는 소비자가 늘어난 데 따른 현상으로 풀이된다. 22일 시장조사 전문기업 트렌드모니터가 지난해 조사한 연령별 건강관리 실태에 따르면 20대의 55%, 30대의 49.5%, 40대의 40.5%가 건강을 위해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2016년 대비 각각 1.79배, 1.55배, 1.11배 증가한 수치다. 이 같은 흐름에 발맞춘 식음료업계도 관련 제품 라인업을 강화 중이다. 커피 고유의 풍미와 맛은 유지하면서 카페인만 줄인 디카페인 제품부터, 저당·저칼로리·저지방을 내세운 다양한 신제품까지 출시하며 세분화된 소비자 취향을 효과적으로 공략하고 있다. 최근 커피도 카페인 부담 없이 즐기려는 트렌드가 확산되며 디카페인 커피가 기존 커피의 대안이 아닌 하나의 취향으로 자리잡고 있다. 프리미엄 커피 브랜드 네스프레소는 최근 대표 베스트셀러 커피의 풍미를 그대로 구현한 디카페인 캡슐 2종을 새롭게 선보이며, 현재 총 9종의 디카페인 커피를 통해 보다 폭넓고 품격 있는 디카페인 커피 경험 확대에 나서고 있다. ‘더블 에스프레소 키아로 디카페나토’는 버츄오 라인의 더블 에스프레소(80ml) 사이즈로는 처음 선보이는 디카페인 제품이다. 국내 소비자들에게 특히 인기가 높은 더블 에스프레소 라인업 중 하나인 ‘키아로’의 우디한 풍미를 그대로 재현한 것이 특징이다. CJ제일제당은 기존 제품 대비 당 함량을 크게 줄인 저당 라인업 ‘슈가라이트’ 9종을 출시했다. 슈가라이트에는 CJ제일제당이 1년여 간의 연구개발을 통해 확보한 차별화 ‘저당 모듈레이션’ 기술이 적용됐다. 서로 다른 맛의 강도와 발현 시점을 갖고 있는 알룰로스, 스테비올배당체 등 다양한 대체당의 특징을 분석, 단맛 원료의 최적 조합으로 각 제품을 설계했다. 이 기술을 토대로 마지막 순간까지 진하고 풍부한 맛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저칼로리 아이스크림 브랜드 라라스윗은 지난 7월 출시 직후 품절 대란을 일으킨 ‘저당 넛티초코바 바닐라맛’의 후속작으로 신제품 ‘저당 넛티초코바 초콜릿’을 출시했다. 저당 넛티초코바 초콜릿 역시 땅콩버터를 듬뿍 넣어 고소한 풍미를 살렸고, 여기에 유크림을 더해 한층 깊고 부드러운 초콜릿 맛을 완성했다. 아이스크림을 감싸는 바삭한 초코 코팅과 쫀득한 초콜릿 아이스크림이 어우러져 식감의 즐거움도 더했다. 요거트 시장도 저당·저지방 제품 출시에 한창이다. 동원F&B는 최근 첫 아이스크림 제품으로 덴마크 하이 그릭 프로즌 요거트를 선보였다. 이번 신제품은 프리미엄 유가공 브랜드 덴마크 하이(Hej!)의 그릭 요거트를 얼려 만든 제품으로, 100mL 기준 당류 2g, 지방 0.6g에 불과하다. 풀무원다논은 저지방 제품으로 구성된 ‘풀무원요거트 그릭’을 리뉴얼하며 제품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신제품 3종은 우유 대비 100g 기준 최대 2.2배 많은 단백질을 했으며, 저지방 제품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2025-08-22 14:02:3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