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금감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증권사에서 429건의 전산사고가 발생했다. 발생건수도 지난 2020년 66건에서 지난해 100건으로 매년 늘고있다.
올해 상반기에는 증권사에서 전년동기(40건) 대비 증가한 58건의 전산 사고가 발생해 투자자 불안이 높아지고 있다. 프로그램 오류로 인한 사고 발생수가 36.4%로 가장 많고 최근에는 외부요인(31%)으로 인한 사고가 증가하는 추세다.
정보보호 공시 종합 포털(KISA)에 따르면 △신한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대신증권 △NH투자증권 △토스증권 등이 정보보호 관련 공시를 발표했다. 증권사는 정보보호 공시 의무 대상이 아니지만 특정 증권사들은 투자자 신뢰 구축에 필요하다는 판단에 자율적으로 공시를 수행하고 있다.
정보보호 공시 종합 포털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희망하는 기업들의 원활한 공시 이행을 위해 구축한 전자공시시스템이다.
신한투자증권은 지난 2022년 정보보호 투자금액으로 1592억원을 투자했지만 지난 2023년 1249억원으로 금액을 줄였다. 올해는 소폭 증가한 1381억원을 투자했다.
대신증권은 지난 2023년 4677억원, 올해 5641억원을 투자하며 정보보호 투자 비율을 높였다. NH투자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은 올해 각각 9988억원, 1668억원을 투자했다.
SK증권은 지난 2023년 378억원을 투자했으며 올해는 374억원으로 투자금액을 소폭 낮췄다. 토스증권은 지난 2021년 1441억원을 투자하며 처음으로 자율 공시에 나섰다. 올해는 7993억원으로 투자 금액을 대폭 강화했다.

신한투자증권의 정보보호 전담 인력은 지난 2022년 29명에서 현재 51명으로 조금씩 인력 증원에 나서고 있다.
대신증권은 지난 2023년 11명에서 올해 14명으로 감원했으며 NH투자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은 올해 각각 33명과 42명을 확보하고 있다. SK증권은 지난 2023년 5명에서 올해 8명으로 인원을 증원했으며 토스증권은 지난 2021년 8명에서 올해 22명으로 인원을 한층 늘렸다.
신영진 배재대학교 소프트웨어학부 정보보안학과 교수는 "금융기관은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ISMS-P) 인증을 3년 주기로 최초심사·사후심사·갱신 절차를 거쳐 점검·관리하고 있다"며 "특히 최근에는 챗봇 등 인공지능(AI) 기반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수집·처리되는 개인 정보가 늘어 인공지능 서비스에 특화된 정보보호 체계와 안전조치 마련도 시급하다"고 말했다.
한편 금융위는 23일 금융권 최고책임자들과 긴급회의를 열어 금융보안 체계를 근본적으로 개편하기 위한 종합적인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는 입장을 내놓는 등 앞으로 보안 강화에 힘을 가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