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2 월요일
맑음 서울 25˚C
흐림 부산 23˚C
흐림 대구 23˚C
맑음 인천 25˚C
흐림 광주 23˚C
흐림 대전 24˚C
흐림 울산 22˚C
흐림 강릉 21˚C
흐림 제주 26˚C
금융

최장 10일 황금연휴, 웃는 여행객...한숨 짓는 항공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정세은 인턴기자
2025-09-22 16:06:15

국내 항공사 주가, 최근 한 달간 0.5~2.3%↓

국제유가·원달러환율 상승 영향

"연휴 여행객 영향 크게 반영 안될 것…중장기 상승세 기대 힘들어"

ẢnhYonhap News
[Ảnh=Yonhap News]
[이코노믹데일리] 10월 개천절과 이어진 최장 10일 황금연휴로 여행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보이는 반면 국내 항공주는 일제히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신규 기재 도입과 인건비 상승 등 구조적 문제에 유가·환율·이민규제 문제가 겹쳐 주가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디지털 여행 플랫폼 아고다에 따르면 올해 추석 기간 국외 여행지 검색량이 전년 대비 19% 증가했다. 여행객 수도 지난 7월 1316만명에서 8월 1392만명으로 늘어나 긴 연휴를 앞두고 여행 수요가 한층 커질 전망이다.

반면 최근 한달간 항공주는 약세 흐름을 보이며 부진한 실적을 이어갔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19일 기준 전일대비 150원(0.67%) 오른 2만32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아시아나와 티웨이 항공은 각각 9360원,1884원으로 전일 대비 2.30%, 0.58% 하락했다.

대한항공은 지난 7월 2만6500원으로 고점을 기록한 뒤 하락세를 이어오다 지난달 2만5000원 선에서 잠시 반등했지만 다시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는 인력 부족과 제주항공 국제선 운항 중단 등으로 시장의 부정적 반응이 반영된 데다 70조원 규모 항공기 엔진 구매 계약 으로 재무 부담이 확대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저비용항공사(LCC)도 부진한 흐름을 이어갔다. 제주항공은 지난 8월 7700원대에서 이번달 6600원대로 하락했으며 22일 종가기준 전일대비 30원(0.45%) 하락한 66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진에어도 0.71% 하락한 8360원으로 마감하며 일제히 내림세를 보였다.

이같은 항공주의 부진한 흐름은 유가와 원달러환율 등 외부 요인 영향을 크게 받으면서 나타났다. 

국제유가 상승은 항공업계에 악재로 작용한다. 항공사 매출원가에서 연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0~30%로, 10월물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는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중동 충돌이 지속되면서 확대된 지정학적 리스크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원달러환율 상승 역시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항공사들은 항공기 대여와 항공유 구입 시 달러로 지불하기 때문에 환율이 높아지면 구매 비용이 늘고 수익성이 감소한다.

이에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자 규제로 미국 방문 수요가 감소한 것도 항공업계에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양지환 대신증권 연구원은 "추석연휴 효과가 단기적으로 주가를 자극할 수는 있어도 3분기 실적을 크게 끌어올리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내국인 출국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어 중장기 상승세를 기대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한국증권금융
삼성물산
한화
롯데케미칼
KB국민은행_2
농협
KB국민은행_1
한국토지주택공사
우리은행
대신증권
컴투스
우리은행
신한카드
kt
콜마
신한은행
우리은행
KB금융그룹_2
현대
KB금융그룹_1
미래에셋
하나금융그룹
DB그룹
다올투자증권
kb캐피탈
하이닉스
KB금융그룹_3
GC녹십자
KB국민은행_3
우리은행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