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인천시의회에 따르면 김 의원은 최근 ‘제303회 본회의’ 5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유정복 시장을 상대로 인천의 보훈정책, 수봉공원 도시계획, 도시철도망 구축 등 주요 현안에 대해 질의했다.
김 의원은 “단순한 행정 점검이 아니라 인천시가 어떤 도시로 나아갈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자리”라며 “인천시는 보훈도시를 표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 차원의 보훈 현안에 소극적”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월미도 민간인 폭격 참사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 회복, 보훈 수당 중복 지급 제한 문제 해결 촉구와 인천보훈병원 시설 개선 및 예산 반영 공식 요청한 후 “중앙정부 소관이라며 선 긋는 자세가 아니라 시장의 의지와 정치적 설득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송도에 위치한 인천상륙작전기념관은 전시·교육 기능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요 보훈행사와는 연결되지 못하고 있으며, 인천시 곳곳에 흩어진 보훈시설들로 인해 시민 접근성·관리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문제도 제기했다.
김 의원은 “기존 기념관과 보훈 자원을 통합한 ‘인천메모리얼파크’ 조성을 제안하며, 이를 통해 추모·전시·교육 기능을 집약해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그는 “수봉공원 내 보훈시설들이 역사적 맥락 없이 집중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민의 휴식권과 문화 공간 기능은 제한되고 있다”며 “수봉공원이 보훈공원이 아닌 시민공원으로 재정립돼야 하며, 메모리얼파크와 연계해 기능을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막연한 검토 수준을 넘어서 시장이 직접 챙기고 반드시 국가 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분명한 의지를 밝혀달라”고 요구했다.
한편 신성영 의원은 최근 인천상륙작전 기념식의 진정한 의미와 참전유공자 예우 강화의 필요성을 강력히 제기했다.
신 의원은 “6·25 전쟁의 전세를 역전시키고 자유대한민국을 구해낸 인천상륙작전은 우리나라 현대사의 결정적 전환점”이라며 “기념식의 주인공은 참전유공자와 그 유족이어야 한다”며 집행부에 보훈행정 관련 개선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