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1 월요일
흐림 서울 30˚C
부산 26˚C
흐림 대구 31˚C
흐림 인천 29˚C
흐림 광주 31˚C
흐림 대전 31˚C
흐림 울산 32˚C
맑음 강릉 33˚C
흐림 제주 31˚C
금융

[2026년 예산안] 李 정부, 지방에 더 많은 재정 투입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유명환 기자
2025-09-01 09:46:02

비수도권 167개 시·군·구 등 특별지원·우대지원·일반지역 3단계로 구성

정부는 최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728조원 규모의 ‘2026년 예산안’을 심의·의결했다사진연합뉴스
정부는 최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728조원 규모의 ‘2026년 예산안’을 심의·의결했다.[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이재명 정부가 출범 이후 첫 예산안에서 지방거점성장 차원에서 거점국립대학에만 총 8733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올해(3956억원)보다 배 이상 증가한 규모다.

1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728조원 규모의 '2026년 예산안'을 심의·의결했다. 내년 예산은 올해보다 54조7000억원(8.1%) 늘어난 ‘슈퍼 예산’이지만, 동시에 27조원의 구조조정을 병행하며 재정 효율화를 강조했다.

이번 예산안에서는 지방 우대 원칙이 시범 도입됐다. 비수도권 167개 시·군·구를 특별지원·우대지원·일반지역 3단계로 나눠 차등 지원하는 방식이다.

아동수당은 특별지원 지역에 월 12만원과 우대지역에 11만원, 일반지역은 10만5000원으로 차등 지급한다. 지역사랑상품권으로 수당을 받을 경우 특별·우대지역에는 1만원을 추가 제공한다.

노인일자리도 신규 확대분의 90%를 비수도권에 배분하고 청년일자리 장려금은 특별지역에서 최대 720만원까지 지원한다. 창업지원 자부담률도 특별·우대지역에서 크게 낮춘다.

정부는 포괄보조금 규모를 10조6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3배 확대해 지방 자율성을 높이고 초광역권 단위 사업에는 인센티브를 부여해 지역 특화산업 연계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번 예산안이 "재정 건전성을 유지하면서도 혁신과 균형을 동시에 추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내년 국가채무가 1415조원을 넘어서는 등 재정 부담은 여전하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구윤철 부총리는 "성과 중심으로 예산을 점검해 낭비는 줄이고 지방 균형 발전을 위해 재정이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우리은행_1
하나금융그룹
신한은행
우리은행_2
kt
대신증권
kb_2
KB_1
한화
NH농협은행
우리은행
삼성물산
DB그룹
미래에셋
컴투스
하이닉스
현대
kb_3
IBK
과실비율정보포털
콜마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