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전기차 캐즘'에 배터리 3사, 가동률 40%대 추락…빚 늘어도 R&D는 확대
기사 읽기 도구
공유하기
기사 프린트
글씨 크게
글씨 작게
2025.08.15 금요일
흐림 서울 30˚C
흐림 부산 33˚C
흐림 대구 34˚C
흐림 인천 29˚C
맑음 광주 32˚C
대전 31˚C
구름 울산 33˚C
흐림 강릉 30˚C
흐림 제주 30˚C
산업

'전기차 캐즘'에 배터리 3사, 가동률 40%대 추락…빚 늘어도 R&D는 확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선재관 기자
2025-08-15 13:43:25

'보릿고개' 넘는 K-배터리, 공장은 멈춰도 미래 투자는 계속

공장 절반이 '개점휴업'…빚더미 속 K-배터리가 유일하게 돈 쏟는 곳

LG에너지솔루션 폴란드공장 사진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 폴란드공장. [사진=LG에너지솔루션]

[이코노믹데일리] 전기차 수요 둔화 직격탄을 맞은 국내 배터리 3사의 공장 가동률이 40~50% 수준으로 급락했다. 실적 악화로 차입금 규모는 눈덩이처럼 불어났지만 기업들은 미래 기술 리더십 확보를 위해 연구개발(R&D) 투자를 오히려 늘리는 '버티기' 전략에 돌입했다.

15일 각 사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의 올 상반기 평균 가동률은 51.3%에 그쳤다. 이는 2022년 73.6%를 기록한 이후 지속해서 하락한 수치다. 삼성SDI의 소형 전지 가동률 역시 지난해 58%에서 올 상반기 44%까지 떨어졌다. 

주력인 중대형 전지 가동률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비슷한 수준의 하락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SK온은 지난해 43.6%까지 급락했던 가동률이 올 상반기 52.2%로 소폭 반등하며 선방하는 모습을 보였다.

가동률 하락은 재무 부담으로 고스란히 이어졌다. LG에너지솔루션의 차입금은 작년 말보다 5조4000억원 넘게 늘어 20조8000억원을 돌파했다. SK온의 차입금도 같은 기간 1조원 이상 증가하며 16조원 후반대를 기록했다. 반면 삼성SDI는 차입금을 소폭 줄이며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재무 관리를 보여줬다.

이처럼 혹독한 불황 속에서도 3사는 미래를 위한 투자는 멈추지 않았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 상반기에만 6204억원을 R&D에 투자했다. 매출액 대비 R&D 비중은 5.2%로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다. 

삼성SDI는 매출액의 11.1%에 달하는 7044억원을 연구개발에 쏟아부으며 기술 초격차 확보에 사활을 걸었다. SK온 역시 상반기 1480억원을 R&D에 투입하며 차세대 기술 개발을 이어갔다. 업계는 전기차 캐즘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고 기술 경쟁력을 통해 시장 반등 시기에 주도권을 잡겠다는 전략으로 풀이한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농협
kb_3
신한금융
신한은행
NH농협
동국제약
메리츠증권
신한투자증권
우리은행_2
kb
KB_1
삼성자산운용
한화
농협
롯데
여신금융협회
KB
하나금융그룹
미래에셋자산운용
KB금융그룹_2
넷마블
국민카드
부영그룹
종근당
kb_2
우리은행_1
한미그룹
IBK
SK증권
KB금융그룹_1
KB금융그룹_3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