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 학생들이 극지아카데미 북극과학탐사를 통해 기후위기를 직접 체험한다.
인천광역시교육청이 ‘2025 인천 학생 극지아카데미’의 핵심 프로그램인 현지 몰입형 북극과학탐사를 운영 중이다.
8일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오는 14일까지 운영하는 이번 탐사는 노르웨이 스발바르 제도 일대에서 진행된다. 인천 관내 고등학교 2학년 학생 8명이 참여해 북극 생태, 지질, 기후 변화와 관련된 현장 탐구 활동을 수행한다.
주요 활동은 △어드벤트달렌 지역 동토층 관측 및 극지 식물 채집 △빙하와 빙퇴석을 활용한 지질 탐사 △피라미덴 지역 북극 온난화 현장 답사 등으로 구성된다.
참가 학생들은 스발바르 대학(UNIS) 워크숍에 참여해 극지 연구자들과 교류하며 전문적 소양을 높일 예정이다.
특히 읽걷쓰 4P 기반 북극과학탐사 프로젝트를 통해 북극 해빙, 생물다양성 감소, 해수면 상승 등 글로벌 기후 문제를 인천과 연결해 탐구하고, 실천 가능한 해결 방안을 도출하는 활동도 병행한다.
시교육청은 학생들이 기후위기를 현장에서 체감하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실천적 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적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시교육청은 극지연구소 극지환경재현 실용화센터에서 ‘2025년 극지과학탐구(Polar Open Lab) 교사 연수’를 운영했다.
연수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생태전환교육의 일환으로 마련했다. 주요 내용은 △빙하 코어를 통한 온실가스 분석 △남극 해저 퇴적물로 살펴보는 기후 변화 △극지 잠수동물, 지의류, 미세조류에 대한 생태학적 이해 △변화하는 우주날씨 등 다양한 주제로 극지연구소 연구원들이 강의와 실습을 진행했다.
참가 교사들은 “연구원들의 생생한 연구 사례를 들으며 기후 변화의 심각성을 다시금 체감했다”며 “연수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과 탐구 중심의 생태전환교육을 실천하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고은숙 시교육청 과장은 “교사의 전문성 강화는 학생들의 기후위기 대응 역량을 높이는 기반”이라며 “앞으로도 생태전환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했다.
이러한 상화에서 시교육청AI융합교육원이 관내 중학생 60명을 대상으로‘미래형 과학관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학생들은 AI융합교육원이 자체 개발한 증강현실 콘텐츠 ‘꿈별이를 찾아라’를 활용해 전시물에 숨어 있는 과학 원리를 탐색하고, 미션을 수행하는 체험 활동에 참여했다.
증강현실(AR) 기기를 활용해 과학 개념을 시각화하고 캐릭터와 상호작용하는 과정은 학생들의 흥미와 몰입도를 높였으며, ‘미래형 과학관’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체험 활동을 마친 학생들은 온라인 플랫폼에 관찰 결과를 올리고, 결과 공유회에서 각자의 해석과 생각을 발표했다.
AI융합교육원은 앞으로도 디지털 기반 융합교육을 확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