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믹데일리] 카카오내비가 운전자들이 실제 주행에서 기피하는 ‘불편한 길’을 AI로 학습해 길안내에 반영하는 신기술을 도입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운전자의 경로 준수율을 AI로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해 카카오내비에 적용했으며 관련 연구 논문이 교통 분야 SCI급 국제 학술지에 게재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고 14일 밝혔다.
일반적인 내비게이션은 도로 폭, 차선 수 등 물리적 정보를 기반으로 경로를 탐색한다. 하지만 운전자는 불법 주정차가 많거나 진출입이 복잡한 경우 등 다양한 이유로 안내 경로를 이탈하곤 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 지점에서 해법을 찾았다. 운전자가 안내된 경로를 실제로 따랐는지를 보는 ‘경로 준수율’을 토대로 도로의 숨겨진 가치를 AI가 평가하도록 한 것이다.
이는 사용자 반응으로 가치를 평가하는 강화학습 방법론 ‘멀티암드밴딧(MaB)’을 적용한 자체 AI 알고리즘으로 구현됐다. 이 기술을 통해 동작대교 남단처럼 상습 정체로 경로 이탈이 잦은 구간이나 복잡한 골목길 등 기존 내비게이션이 반영하기 어려웠던 불편 요인을 시스템이 자동으로 학습하고 실시간 경로 탐색에 반영할 수 있게 됐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해 11월부터 이 기술을 카카오내비의 ‘내비추천 경로’에 적용 중이다. 기술의 효과는 논문을 통해 입증됐다. 기술 적용 후 ‘빠른 경로’에서 새롭게 제안된 경로의 운전자 준수율은 기존 64.22%에서 70.87%로 6.65%p 상승했다. 운전자들이 실제로 개선된 경로를 더 신뢰하고 따르기 시작했다는 의미다.
논문의 제1저자인 김푸르뫼 카카오모빌리티 AI연구개발팀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이용자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내비게이션이 경로 탐색시 고려하는 정보와 실제 주행 환경과의 ‘불일치’ 정도를 수치화하고 격차를 줄여 개선된 경로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뒀다”며 “실제 주행시간, 도로의 주행 편의성 등 다양한 경로품질 지표에서 개선된 효과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성과”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