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믹데일리] LG유플러스가 인공지능(AI) 기술을 집약한 ‘AI 상담 어드바이저’를 공개하며 AI컨택트센터(AICC) 사업 강화에 나선다.
27일 서울 용산 사옥에서 열린 기술설명회에서 LG유플러스는 자사 고객센터 운영 노하우와 AI 기술을 결합해 상담 효율을 극대화하고 이를 그룹사 및 외부 기업에 공급해 B2B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전략을 밝혔다. AICC는 단순 CS 업무에 AI를 적용하는 것을 넘어 상담 업무 전반에 AI가 관여하고 데이터를 체계화해 전체 업무 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남희 LG유플러스 CV담당은 “LG유플러스 고객센터를 통해 쌓은 연간 1800만여건 상담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담사를 제일 잘 아는 AI 어드바이저가 될 수 있도록 지속 강화하고 있다”며 “상담사 업무의 효율화와 고객 편의성 개선을 통해 AI 상담 어드바이저를 도입한 회사까지 만족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실제로 AI 상담 어드바이저 도입 후 LG유플러스 고객센터는 고객 통화당 연결 대기 시간이 평균 17초, 통화 시간은 평균 30초 줄어 전체 상담 시간이 약 19% 개선됐으며 월평균 약 117만 분의 상담 시간을 절약했다. AI상담어드바이저에는 음성텍스트변환(STT) 기술을 비롯해 진일보한 AI 기술이 대거 적용됐다. ‘에이전틱 RAG(검색증강생성)’ 기술은 AI가 상담사와 고객의 대화 맥락을 파악해 기업 내부 정보 중 필요한 내용을 스스로 검색하고 답변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고객이 “eSIM이라는 게 있다고 하던데 이건 뭐예요?”라고 질문하면 단순히 eSIM 관련 설명뿐 아니라 고객 케이스별 가입 절차와 주의사항까지 제공하며 현재 답변 정확도는 90%에 달한다.
상담 후 대화 내용을 주제별로 분류하는 절차의 정확도를 개선하는 ‘AI 인 더 루프’ 기술은 AI의 분류 정확성을 또 다른 AI 엔진으로 검증하고 오류 발생 시 스스로 학습해 수정한다. 이 기술로 사람이 직접 작업할 경우 상담 2000건 분류에 약 5760분이 소요됐던 것을 3000건에 40분 만에 완료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상담 품질을 AI가 평가하는 ‘AI 오토 QA’ 기능도 개발 중으로 이르면 3분기 내 도입 예정이다.
이진희 LG유플러스 신규서비스개발랩장은 “AI 오토 QA 외에도 상담 코드 추천, 후처리 자동화 등 여러 기술이 복합적으로 적용돼 있다”며 “특히 후처리 작업을 줄여 상담사가 본업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AI상담어드바이저를 자사뿐 아니라 LG그룹사 및 외부 고객사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이미 LG전자 등 그룹 계열사와 도입을 논의 중이며 이를 통해 AICC 사업의 전초기지 역할을 한다는 구상이다. 현재 LG AI 연구원의 ‘엑사원3.5-2.4B’ 모델과 통신 특화 소형언어모델(SLM) ‘익시젠’을 활용 중이며 향후 다양한 LLM을 유연하게 사용하는 멀티 LLM 체제도 검토 중이다. 그룹사 적용과 외부 AICC 사업 수주 등을 통해 연간 매출 350억 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성권 LG유플러스 IT·플랫폼빌드그룹장(상무)는 “상담사가 고객의 목소리에 집중하며 소통을 강화할 수 있도록 AI를 활용하여 업무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고객에게 차별화된 상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AI 적용 분야를 개발하고 고도화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