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2 월요일
맑음 서울 17˚C
맑음 부산 15˚C
맑음 대구 14˚C
흐림 인천 16˚C
맑음 광주 13˚C
맑음 대전 14˚C
맑음 울산 14˚C
맑음 강릉 14˚C
맑음 제주 18˚C
정책

[로컬FOCUS] "인천형 출산환경 개선 정책 국민 공감 얻었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권석림 기자
2025-05-12 16:45:00

'스마트 경로당 구축'… 어르신 맞춤형 안전 교육 확대

유정복 인천광역시장 사진인천시
유정복 인천광역시장 [사진=인천시]
인천광역시 응급환자 이송·출산환경 개선 정책이 국민 공감을 얻었다. 행정안전부 합동평가서 제출 정책 2건이 모두 우수사례로 선정됐다. 시부(市部) 중 인천이 유일하다. 인천시는 국민평가에서 빛난 인천의 정책력, 국민체감 행정 성과를 인정받은 것으로 평가했다.

12일 인천시에 따르면 시는 행안부가 주관한 ‘2025년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2024년 실적) 국민평가 부문에서 시부 중 유일하게 제출한 2건 모두가 우수사례로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는 국가 주요 시책과 위임사무 등의 성과를 평가하는 제도다. 행안부 장관과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공동으로 전국 17개 시도를 대상으로 매년 실시한다. 

평가는 정량평가, 정성평가, 국민평가로 구분된다. 각 지표는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합동평가단이 시와 도를 나눠 평가한다. 이 중 국민평가는 국민평가단이 직접 참여해 각 지방자치단체가 제출한 사례 중에서 우수사례를 선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시는 이번 평가에서 국민 체감도가 높은 응급환자 이송·수용체계 개선, 임신·출산 환경 조성 사례를 제출했다. 두 사례 모두가 우수사례로 선정되는 성과를 달성했다.

‘인천 응급환자 떠돌이 OUT(아웃)! 적시 치료 UP(업)!’ 사례는 최종 치료까지 책임지는 응급의료 안전망을 구축하고, 닥터카 및 닥터헬기 운영을 통한 육상·항공 응급이송 체계를 마련한 점이 주요한 성과로 평가받았다. 부적정 이송과 수용 곤란 사례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환류 시스템과 연계해 국민 생명과 직결된 응급의료 분야의 정책을 실효성 있게 추진한 점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인천형 출생정책 i(인천&아이) + dream(드림)은 계속된다’ 사례는 태아부터 18세까지 이어지는 경제적·의료적 지원 확대와 주택 마련, 교통비, 금융지원 등 생활밀착형 출산 장려정책을 추진해 저출산 극복과 지속 가능한 출산환경 조성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아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으로 합동평가 우수사례로 선정됐다.

이번 합동평가에서 111개 지표(정량 94개, 정성 17개) 중 89개 지표(80.2%)를 목표 달성해 전년 대비 목표달성률이 1%포인트(p) 향상되는 성과도 함께 거뒀다. 

신승열 시 기획조정실장은 “인천시의 정책이 국민의 공감과 지지를 얻었다는 점에서 이번 성과는 매우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시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올해 합동평가에서도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체계적인 대응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했다.

한편 인천시는 어르신 실시간 안전 교육으로 지역 안전망도 강화한다. 스마트 경로당 구축사업 일환으로 실시간 교육을 이달 15일과 22일 진행한다. 

이번 교육은 디지털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경로당 시스템을 활용해 어르신들이 일상에서 마주할 수 있는 다양한 위기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초점을 맞췄다.

교육은 스마트 경로당 스튜디오에서 재난안전 전문 강사 3명이 직접 진행한다. 인천시 관내 100개소 스마트 경로당에 실시간으로 동시 송출된다. 양방향 화상 시스템을 통해 어르신들이 각 경로당에서 강사와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돼 현장감 있는 학습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번 교육은 집중도 높은 프로그램으로 마련돼 어르신들의 실질적인 위기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교육 방식은 어르신들에게 보다 쉬운 접근성과 참여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사회의 안전망 강화에도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시는 앞으로도 스마트 경로당을 중심으로 어르신 맞춤형 안전 교육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신한은행
우리은행_2
DB그룹
종근당
우리은행_1
한화
하나금융그룹
LX
NH투자증
관세청
국민은행
신한금융지주
jw
국민카드
미래에셋
국민은행
SK하이닉스
KB증권
DB손해보험
메리츠증권
NH
대원제약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