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로를 달리는 전세버스. 사진은 기사 내용과 상관없음. [연합뉴스]
국토교통부가 최근 3년간 전세버스 교통사고를 분석한 결과 발생건수는 총 2700건이었다. 월평균 225건 꼴이었다. 특히 상반기엔 5월(9.2%), 하반기엔 11월(11.3%)에 전세버스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했다. 5월(248건)과 11월(304건) 사고 발생률은 월 평균(225건) 대비 각각 10.2%, 35.1% 높았다.
사고 원인으로는 휴게시간 미확보 등 안전운전의무 불이행이 1409건으로 전체의 절반 이상(52.2%)을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안전거리 미확보(15.7%), 신호위반(12.6%), 교차로 운행방법 위반(7.1%)이 그 뒤를 이었다.
시간대별로는 일몰 시작되는 18~20시(19.3%)가 가장 많았고, 운행을 시작하는 6~8시(15.1%)가 그 뒤를 이었다. 장시간 운행에 따른 졸음운전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으로 보인다. 장거리 운행이 많고 다수의 승객을 수송하는 전세버스 특성 상 대규모 교통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
국토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코로나19 방역조치 해제 후 전세버스 운행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4~5월 경찰청·지자체·전세버스연합회 등과 함께 ‘전세버스 현장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다. 차량 안전상태와 운전자 운수종사 자격 보유 여부를 집중적으로 점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