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사진 [사진=게티이미지뱅크]](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5/11/20250511150528939219.jpg)
1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상장 자동차 부품 1차 협력사 83곳(현대모비스·현대위아 제외)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3조496억원으로 전년 대비 11.7% 감소했다.
이는 지난해 완성차 시장 부진이 부품 업계에도 직접적인 타격을 준 결과로 풀이된다.
국내 완성차 업체 5개사(현대차·기아·한국GM·르노코리아·KG모빌리티)의 지난해 글로벌 판매량은 794만7170대로 전년보다 0.6% 줄었다. 특히 내수 판매량은 135만8842대로 전년 대비 6.4% 감소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했던 2008년(114만5000대) 이후 최저치다.
반면 현대차그룹 계열사인 현대모비스와 현대위아는 호실적을 기록했다. 현대모비스는 전년보다 33.9% 증가한 3조735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고 같은 기간 현대위아(공작기계 부문 포함)도 영업이익이 2367억원으로 3.3% 늘었다.
이에 업계는 중소 부품업체일수록 외부 충격에 더 취약하다고 평가했다.
업계 관계자는 “규모가 작을수록 판매량과 매출 감소에 따른 수익성 악화가 더 크게 나타난다”며 “2·3차 협력사로 내려갈수록 금융권 대출이 어려워지고 현금 흐름에도 문제가 생겨 더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말했다.
올해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정책 기조에 따른 관세 부담까지 겹치면서 부품 업계의 수익성에 추가 악재가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트럼프 정부는 지난달 3일부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했고 이달 3일부터는 자동차 부품에도 25% 관세를 적용하기 시작했다.
미국 정부는 향후 2년간 부품 관세를 일부 완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지만 대미 수출 비중이 큰 한국 부품 업체들은 타격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미국은 한국의 최대 자동차 부품 수출 시장이다. 한국의 자동차 부품 대미 수출 비중은 2020년 29.5%에서 지난해 36.5%까지 증가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판매가 부진해도 미국 수출과 환율 효과를 통해 수익을 낼 수 있었는데, 올해는 대미 수출 자체가 줄어들면서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할 것 같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