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4 화요일
구름 서울 8˚C
맑음 부산 10˚C
맑음 대구 8˚C
맑음 인천 8˚C
맑음 광주 14˚C
맑음 대전 12˚C
맑음 울산 15˚C
맑음 강릉 14˚C
흐림 제주 16˚C
IT

6월 소비자물가 6.0% 급등…1998년 IMF 위기 이후 최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선재관
2022-07-05 09:25:06

6월 소비자물가 작년 같은 달보다 6.0% 급등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5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2년 6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저작권자 ⓒ ㈜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외환위기 이후 약 24년만에 6%대로 급등하며 최고치를 찍었다.

세계 공급망 마비과 에너지·원자재 가격과 서비스 가격이 연일 상승세를 기록 중인 현재 농축수산물 가격도 올라 전월(5.4%)보다 상승 폭이 더 커졌다.

5일 통계청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8.22(2020=100)로 전년 동기 대비 6.0% 치솟았다. 외환위기였던 1998년 11월(6.8%) 이후 23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4∼9월 6개월간 2%대를 보이다가 작년 10월(3.2%) 3%대로 올라섰다. 올해 3월(4.1%)과 4월(4.8%)에는 4%대, 5월(5.4%) 5%대를 기록하더니 6월엔 6%대로 가파르게 상승했다.

 

[자료=통계청 소비자물가지수표]



품목별로 보면 공업제품과 서비스가 물가 상승을 견인했다.

석유류(39.6%)와 가공식품(7.9%)을 비롯한 공업제품은 1년 전보다 9.3% 올랐다.

농축수산물은 축산물(10.3%)과 채소류(6.0%)를 중심으로 4.8% 오르며 전월(4.2%)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전기·가스·수도도 1년 전보다 9.6% 올랐다. 지난 4∼5월 전기·가스요금이 인상된 영향이다.

개인서비스는 외식(8.0%)과 외식 외(4.2%)가 모두 올라 5.8% 올랐다.

공공서비스는 0.7%, 집세는 1.9% 각각 올랐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더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7.4% 올라 1998년 11월(10.4%) 이후 가장 상승률이 높았다.

5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작년 같은 달에 비해 6.0% 뛰었다.

외환위기 시절인 지난 1998년 11월(6.8%)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한다. 통계청은 "당시는 외환위기 이후 구제금융을 신청한 다음으로, 달러-원 환율이 급등하면서 원자재 비용 등이 상승하던 시기"라고 설명했다.

계절적 요인이나 외부충격에 따른 변동성을 제외한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근원물가)는 4.4% 상승했다. 이는 금융위기 시기인 2009년 3월(4.5%) 이후 최고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의 상승 폭은 3.9%였다. 2009년 2월(4.0%) 이후 최고다.

생활물가지수는 7.4% 상승해 1998년 11월(10.4%)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신석식품은 5.4% 올랐다.

서비스 부문의 상승 폭은 3.9%였다. 이에 해당되는 집세는 1.9%, 공공서비스는 0.7%, 개인 서비스는 5.8% 각각 상승했다. 개인 서비스를 구성하는 외식은 8.0% 올라 1992년 10월(8.8%)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기여도 측면에서 석유류가 1.74%포인트로 가장 높았다. 외식(1.01%포인트), 외식 외(0.76%포인트)가 그 뒤를 이었다.

어운선 통계청 심의관은 "석유류 등 공업제품과 개인 서비스 가격이 높은 오름세를 지속했고, 농·축·수산물 가격도 오름세가 커지면서 6.0% 상승했다"면서 "물가 상방 압력이 높아 계속 6%대를 보일 수 있다"고 관측했다. 또 "지금 추세를 감안하면 연간 상승률이 4.7%로서, 이보다는 높은 수치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SC제일은행
NH투자증
하나금융그룹
씨티
우리은행
스마일게이트
KB국민은행
카카오
삼성증권
DB손해보험
신한금융지주
신한은행
NH
db
한화투자증권
롯데캐슬
삼성전자
한국투자증권
삼성화재
교촌
신한투자증권
포스코
한화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