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8 금요일
맑음 서울 -2˚C
맑음 부산 2˚C
구름 대구 3˚C
맑음 인천 -0˚C
구름 광주 5˚C
맑음 대전 3˚C
맑음 울산 5˚C
맑음 강릉 3˚C
흐림 제주 10˚C
금융

'예·적금으로 머니무브'...1월에 풀린 돈 34조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아현 기자
2022-03-17 14:47:35

기준금리 인상으로 예·적금 금리 인상된 영향

[연합뉴스]

기준금리 인상 기조로 시중자금이 예·적금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정기 예·적금에 22조원 넘게 돈이 몰리면서 시중 유동성이 30조원 넘게 불어났다. 

한국은행이 17일 발표한 '2022년 1월 중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3월 평균 광의통화량(M2 기준)은 3653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월 대비 0.9%(33조8000억원) 증가했다. 

M2는 넓은 의미의 통화 지표로, 언제든 현금화할 수 있는 유동성 자금을 의미한다. M2 증가율은 2017년 9월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지난해 4월 처음으로 3000조원을 돌파해 매월 사상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강해지면서 주식·암호화폐 시장에 머물던 자금이 예·적금으로 이동했다. 

특히 2년 미만 정기 예·적금이 22조7000억원 늘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예·적금 금리가 인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금전신탁은 12조3000억원, 수익증권은 11조8000억원 늘었다. 

한편 단기자금 지표인 M1은 1352조4000억원으로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M1는 현금통화,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등으로 구성돼 있다. 

한국은행은 금리를 올리면서 주식, 부동산에 투자됐던 자금이 예·적금으로 이동하면서 유동성이 늘어났다고 분석했다. 

한은 관계자는 "금리를 올리면서 통계에 잡히지 않았던 자금들이 잡히면서 시중 유동성이 늘어났는데 이러한 유동성이 계속해서 증가할 수는 없다"며 "현재 M2 증가세는 과도기적인 모습이고 M1을 따라 증가세가 둔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신한카드
우리은행
포스코
하이트진로
우리은행
신한투자증권
하이닉스
신한금융지주
미래에셋
신한투자증권
우리모바일
교촌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
신한라이프
신한은행
kb금융그룹
우리은행
하나금융그룹
카카오
한화투자증권
한화
전세사기_숫자쏭
im금융지주
경주시
삼성증권
삼성전자
IBK
NH
DB손해보험
KB국민은행
스마일게이트
롯데캐슬
현대해상
삼성화재
db
HD한국조선해양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