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3 목요일
맑음 서울 12˚C
맑음 부산 13˚C
맑음 대구 13˚C
맑음 인천 12˚C
맑음 광주 11˚C
맑음 대전 10˚C
맑음 울산 12˚C
흐림 강릉 11˚C
맑음 제주 16˚C
산업

삼성전자, 세계 최초 '사람 뇌 닮은' 인-메모리 컴퓨팅 구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문은주 기자
2022-01-13 08:48:56

MRAM 기반 데이터 저장·연산 수행 인-메모리 컴퓨팅 구현

저전력 인공지능(AI) 및 뉴로모픽 칩 기술 연구 분야 확장

왼쪽부터 정승철 삼성전자 전문연구원, 함돈희 삼성전자 펠로우, 김상준 삼성전자 마스터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 연구진이 자기저항메모리(MRAM)를 기반으로 한 인-메모리(In-Memory) 컴퓨팅을 세계 최초로 구현해 연구 결과를 학술지에 게재했다.

인-메모리 컴퓨팅은 메모리 내에서 데이터 저장부터 연산까지 수행하는 최첨단 칩 기술이다. 이동 없이 많은 정보를 메모리 내에서 병렬 연산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현저히 낮다. 시스템 반도체 공정과 접목해 대량 생산이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중 하나로, 차세대 저전력 인공지능(AI) 칩 제작에 유력한 기술로 주목받는 이유다.

하지만 데이터 안정성이 높고 빠른 장점에도 불구하고 낮은 저항값을 갖는 특성으로 인해 전력 이점이 크지 않아 그동안에는 인-메모리 컴퓨팅으로 구현되지 못했다.

삼성전자 연구진은 이러한 MRAM의 한계를 기존 '전류 합산' 방식이 아닌 새로운 개념의 '저항 합산' 방식의 인-메모리 컴퓨팅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저전력 설계에 성공했다. MRAM 기반 인-메모리 컴퓨팅 칩의 성능을 AI 계산에 응용해 숫자 분류에서는 최대 98%, 얼굴 검출에서는 93%의 정확도로 동작하는 것을 검증했다.

연구진은 새로운 구조의 MRAM 칩을 인-메모리 컴퓨팅으로 활용할 뿐 아니라, 생물학적 신경망을 다운로드하는 뉴로모픽(Neuromorphic) 플랫폼으로의 활용 가능성도 함께 제안했다.

뉴로모픽 반도체는 사람의 뇌 신경망에서 영감을 받거나 또는 직접 모방하려는 반도체다. 신경망 연산에 필요한 회로만으로 구성돼 있어 기존 CPU나 GPU를 이용해 신경망 연산을 하는 것보다 전력, 면적, 속도 측면에서 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인지, 추론 등 뇌의 고차원 기능까지 재현하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삼고 있다.

연구에 참여한 정승철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전문 연구원은 "인-메모리 컴퓨팅은 메모리와 연산이 접목된 기술로, 기억과 계산이 혼재돼 있는 사람 뇌와 유사한 점이 있다"라며 "이번 연구가 향후 실제 뇌를 모방하는 뉴로모픽 기술의 연구 및 개발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세계 최초로 MRAM 기반 인-메모리 컴퓨팅을 구현하고, 차세대 저전력 AI 칩 기술의 지평을 확장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삼성전자는 초격차 메모리 기술 역량을 시스템 반도체 기술과 접목해, 차세대 컴퓨팅 및 인공지능 반도체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기술 리더십을 확장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12일(영국 현지시간)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Nature)'에 실렸다. 연구에는 정승철 전문 연구원이 제1저자로, 함돈희 종합기술원 펠로우 및 하버드대학교 교수와 김상준 종합기술원 마스터가 공동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반도체연구소, 파운드리 사업부 연구원들도 공동으로 연구에 참여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SC제일은행
한화투자증권
씨티
롯데캐슬
포스코
교촌
신한은행
하이닉스
한국투자증권
NH
KB국민은행
NH투자증
신한투자증권
카카오
삼성화재
kb금융그룹
삼성증권
DB손해보험
우리은행
스마일게이트
삼성전자
신한금융지주
db
하나금융그룹
경주시
한화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