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
-
-
-
-
-
-
-
-
-
문체부, 저작권 보호의 새로운 장 열다...`K-저작권 지킴이` 발대식 개최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저작권보호원(원장 박정렬)은 8일 오후 7시 서울 서대문구 모두예술극장에서 'K-저작권 지킴이' 발대식을 연다. 이번 행사는 '저작권 보호, 바로 지금' 캠페인의 일환으로 마련됐으며, 콘텐츠 소비자와 창작자 등 업계 관계자들이 대거 참여할 예정이다. 문체부는 “저작권 보호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높이고 저작권 보호 메시지를 널리 알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 처음 시작하는 'K-저작권 지킴이'는 콘텐츠 소비가 활발한 대학생 50명과 영상, 음악, 웹툰 등 다양한 분야의 창작자, 그리고 콘텐츠 제작 및 유통 기업 37개로 구성된다. 이 대학생 저작권 지킴이들은 창의적이고 개성 넘치는 저작권 보호 홍보 콘텐츠를 제작하여 개인 소셜 미디어 등 여러 홍보 채널을 통해 확산할 예정이다. 또한 불법 유통 콘텐츠를 감시하고 저작권 침해 사례를 발견하면 대국민 저작권 침해 신고사이트에 신고하는 등의 활동도 수행할 계획이다. 이날 행사에는 인기 유튜버 '준오브다샤'와 K팝 안무가 최영준 씨가 창작자 대표 '저작권 지킴이'이자 홍보대사로 참석한다. 이외에도 한국만화가협회 신일숙 회장,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이호준 법무실장, 밀리의서재 정민철 경영기획실장 등 업계를 대표하는 인사들이 자리를 빛낼 예정이다. 행사 중 '우리가 바로 K-저작권 지킴이' 퍼포먼스가 진행되며, 가수 흰(HYNN)이 부른 저작권 보호 캠페인 송 '바로 지금 송'도 처음으로 공개된다. 또한 K팝 걸그룹 아이브와 배우 백성현도 '저작권 보호, 바로 지금' 캠페인에 동참하며, 저작권의 중요성을 알리는 영상 메시지를 전할 계획이다. 정부는 작년 7월, 국제화되고 지능화되는 저작권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K-콘텐츠 불법 유통 근절 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문체부와 한국저작권보호원은 올해 국민의 저작권 보호 인식을 높이고 콘텐츠를 정당한 가격에 이용하는 문화를 확산시키며 불법 유통을 근절하는 '저작권 보호, 바로 지금' 캠페인을 대대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K-저작권 지킴이’가 K-콘텐츠의 든든한 지킴이로서 저작권 존중 문화 확산과 저작권 보호 인식 개선에 앞장서길 바란다”고 전했다.
2024-07-08 15:51:30
-
-
삼성 노조, 회사 창립 후 첫 총파업··· 반도체 생산 차질 우려
삼성전자 최대 노동조합인 전국삼성전자노조(전삼노)가 1967년 회사 창립 이후 처음 총파업을 개최했다. 8일 파업에 참여한 인원만 6000명을 넘은 가운데 총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삼성전자 생산에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전삼노는 이날 오전 11시부터 경기 화성 삼성전자 화성사업장 H1 정문 앞에서 총파업 결의대회를 열고 파업에 돌입했다. 파업엔 기흥, 평택, 천안, 온양, 구미, 광주사업장 등 조합원 6540명(노조 추산)이 참여했다. 전공노는 이 중 설비, 제조, 개발 공정 참여자가 5211명인 것으로 파악했다. 파업은 오는 10일까지 사흘간 이어질 예정이다. 전삼노 관계자는 "당초 6000명 이상 집회에 참석하기로 했지만 기상 악화로 실제 집회에는 4000∼5000명 정도 참석한 것으로 보인다"며 "근무에 나서지 않는 등의 형태로 파업에 참가한 직원을 포함하면 더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설비, 제조, 개발 직군에서만 5000명 이상이 와 생산 차질은 무조건 달성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업계에서도 당초 관측보다 많은 인원이 참석했다는 반응을 내놨다. 경기도 동탄경찰서 측은 이번 집회 참석 인원을 3000명으로 추산했다. 앞서 전삼노는 총파업에 따른 요구안으로 전 조합원에 대한 높은 임금 인상률 적용, 유급휴가 약속 이행, 경제적 부가가치(EVA) 기준으로 지급하는 초과이익성과급(OPI) 기준 개선과 파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임금 손실에 대한 보상 등을 제시했다. 전삼노는 총파업으로 생산 차질을 유발해 노측 요구를 관철시키겠다는 입장이다. 실제 전삼노는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 중심으로 구성돼 있어 반도체 부문 생산에 차질을 빚을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현재 반도체 생산라인은 24시간, 3교대로 돌아가고 있다. DS부문 직원은 약 7만명이다. 현재 생산 차질은 빚어질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지만 장기화될 경우 파업에 참여하지 않은 직원들에게도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노조는 협상이 전향적으로 이뤄지지 않으면 오는 15일부터 닷새간 2차 총파업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2024-07-08 15:3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