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8 화요일
맑음 서울 4˚C
구름 부산 8˚C
구름 대구 8˚C
맑음 인천 4˚C
흐림 광주 6˚C
흐림 대전 4˚C
맑음 울산 6˚C
맑음 강릉 5˚C
흐림 제주 9˚C
금융

금융위, 인뱅 중저신용 대출 비율 상향 검토…연체 리스크 우려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지다혜 기자
2025-11-18 14:44:11

인뱅 3사 경영 현황 분석…"상향 가능한지 확인 차원"

주 고객 2030 연체율 오르는데…연체 부담 확대될 듯

인터넷전문은행 3사카카오·토스·케이뱅크 전경 사진각 사
인터넷전문은행 3사(카카오·토스·케이뱅크) 전경 [사진=각 사]
[이코노믹데일리] 최근 이재명 대통령이 '금융 계급제'를 언급하며 금융 취약계층의 지원을 강조하면서 금융당국이 인터넷전문은행 3사(카카오·토스·케이뱅크)의 중저신용자(신용평점 하위 50% 이하) 대출 비율 상향에 대한 검토에 들어갔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인터넷은행들의 대출 잔액나 연체율 등 경영 전반에 대해 살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인터넷은행이 중저신용자 대출 비율을 높였을 때 감당이 가능한지 점검하기 위해서다.

앞서 지난 2월 금융위는 인터넷은행을 대상으로 전체 신규 대출 취급액과 평균 잔액(평잔) 모두 중저신용자 대출 비율을 30% 이상 유지하도록 규제하는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기존엔 분기 말 기준 대출 잔액에서만 해당 비율을 30% 이상 맞추면 됐었다.

금융당국이 인터넷은행 대상으로 중저신용자 대출 비율 상향 검토에 나선 건 최근 이 대통령이 금융 개혁 필요성을 강조하면서다.

지난 13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이 대통령은 "현재 금융제도는 가난한 사람이 비싼 이자를 강요받는 '금융계급제'"라며 "금융기관도 공적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특히 대선 후보 시절엔 기존 인터넷은행의 중저신용자 의무 대출 비중 상향 조정을 공약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인터넷은행들은 중저신용자 대출의 연체 리스크가 커져도 공급을 줄일 수 없었다. 규제를 어기면 신사업 인가 등에서 불이익을 받기 때문이다.

다만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에 따른 인터넷은행들의 부담은 더 커질 전망이다. 특히 비대면으로 손쉽게 대출이 가능하단 점 때문에 이미 주 고객층인 2030세대의 연체율이 가파르게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한홍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카카오뱅크의 30대 이하 연체율은 2022년 말 0.91%에서 올해 7월 말 1.51%로 0.6%p 올랐고, 토스뱅크의 청년층 연체율 역시 같은 기간 0.93%에서 1.39%로 0.46%p 오른 바 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db
한화
kb금융그룹
신한금융지주
삼성증권
스마일게이트
하나금융그룹
신한은행
한국투자증권
KB국민은행
DB손해보험
SC제일은행
씨티
삼성전자
신한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교촌
NH
하이닉스
포스코
롯데캐슬
우리은행
경주시
카카오
NH투자증
삼성화재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