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통신·AI(인공지능) 융합 전략을 본격화한 LG유플러스가 통화 중 AI를 호출해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하는 기능을 공개하며 통화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초개인화 AI 비서 플랫폼 확장에 시동을 걸었다. 단순 통화보조 앱이던 '익시오(ixi-O)'를 고객 일상을 관리하는 '개인 비서형 AI 플랫폼'으로 발전시키겠다는 구상이다.
익시오 1.0→2.0→3.0…통화데이터를 개인 비서 두뇌로
LG유플러스는 13일 서울 종로구 센트로폴리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AI 통화앱 익시오에 적용할 신규 기능 '익시오 AI 비서'를 소개했다. 통화 중 '헤이 익시'라고 부르거나 화면을 누르면 AI가 대화 흐름을 이해하고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해 음성으로 읽어주는 서비스다.LG유플러스에 따르면 익시오는 1.0 단계에서 통화 요약 기능을 제공하며 기반을 다졌고 이번 2.0 단계에서는 통화 내용 자연어 검색과 통화 중 대화 검색 기능을 구현했다. 이어 3.0 단계에서는 고객이 직접 기능을 만들 수 있는 '에이전트 빌더'를 통해 일정 등록·회의록 생성·메일 작성 등 반복 업무를 AI가 자동 실행하는 '액셔너블(Actionable) AI'로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최윤호 LG유플러스 AI에이전트추진그룹장 겸 상무는 "통화는 끝나도 그 속의 데이터는 고객에게 남아야 한다"며 "익시오를 초개인화 AI 비서 플랫폼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핵심 기능은 '통화 중 AI 검색'…세계 최초 수준
LG유플러스가 이번에 공개한 '익시오 AI 비서'는 통화 중 AI가 대화 맥락을 분석해 날씨·환율·길찾기 등 정보를 실시간 음성으로 안내하는 기능이다. 앱 전환 없이 통화 중 검색을 수행하는 구조로 회사는 이를 세계 최초 수준 서비스라고 강조했다.최윤호 그룹장은 "매일 135만명 고객이 통화 중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통화를 끊거나 이탈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며 "익시오는 이 과정을 통화 안에서 해결한 첫 사례"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통화 중 검색이라는 새로운 사용 패턴이 도입되면서 LG유플러스는 보안과 이용자 신뢰를 최우선 요소로 꼽았다.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AI 호출 전까지는 통화 음성이 서버로 전송되지 않고 호출 이후 질문 구간만 분석에 활용하는 온디바이스 STT(단말기 내 음성 텍스트 변환) 방식이 적용된다. 연말까지 베타 서비스를 운영하고 내년 상반기 정식 출시할 예정이다.
기술 기반은 구글 협업으로 구축했다. '제미나이 2.5 플래시 라이브'를 기반으로 이용자가 말한 음성을 바로 AI 음성 응답으로 변환하는 기술(V2V)을 구현했다. 여기에 구글의 검색 그라운딩 기능을 더해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였다.
LG유플러스는 11월 중 통신 요금제와 구글 서비스를 묶은 번들 요금제를 선보이고 동남아 통신사와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기반의 B2B(기업 간 거래) 협력 모델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수익화 신중, 보안 무과금, 생산성 기능 검토
LG유플러스는 수익화 전략에 대해서는 '가다듬는 단계'라며 회사는 당분간 고객 가치 확보에 무게를 두겠다고 밝혔다. 이재원 LG유플러스 컨슈머부문장 겸 부사장은 "보안·신뢰와 관련된 기능은 별도 과금 없이 제공할 것"이라며 "고객 생산성과 편의성을 높이는 고도화 기능은 추후 수익화 모델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LG유플러스는 유료화 여부보다 이용자 기반 확대를 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현재 익시오 가입자는 약 100만명으로 내년 300만명 수준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업계에서는 이번 발표를 단순한 'AI 서비스 업데이트'가 아니라 통화데이터를 플랫폼 자산으로 전환하려는 전략의 시작으로 평가한다. 핵심은 통신사가 확보한 '통화 데이터'가 다른 플랫폼과 차별화되는 경쟁력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통화 데이터는 고정밀 맥락·인간관계 기반이라는 특성 덕분에 초개인화 AI 구현에 적합하다는 분석이다.






























![[현장] 통화 중 바로 호출…LG유플러스, 익시오 AI비서 플랫폼 확장 전력투구](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13/20251113154850789319_388_136.jpg)





![[단독] 현대홀딩스, 현대네트워크 흡수합병…현정은 체제 지배 구조 단일화](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12/20251112151738303931_388_136.jpg)
댓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