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기획∙한중교류] '세계 시장 대화·둔황' 행사 中 둔황서 개막...문화재로 도시 간 교류 강화
기사 읽기 도구
공유하기
기사 프린트
글씨 크게
글씨 작게
2025.10.15 수요일
서울 19˚C
흐림 부산 20˚C
흐림 대구 20˚C
인천 19˚C
흐림 광주 19˚C
흐림 대전 22˚C
흐림 울산 19˚C
강릉 17˚C
흐림 제주 23˚C
신화통신

[기획∙한중교류] '세계 시장 대화·둔황' 행사 中 둔황서 개막...문화재로 도시 간 교류 강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范培珅,任延昕,何问,张睿
2025-10-15 15:27:21

(중국 란저우=신화통신) '세계 시장(市長) 대화·둔황(敦煌)' 행사가 지난 13일 간쑤(甘肅)성 둔황시에서 개막했다. 한국을 비롯한 10개국의 시장과 시장 대표, 주중 외교사절, 유관기관 대표 등 국내외 귀빈들이 참석해 문화도시 거버넌스 등 다양한 의제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펼쳤다.

13일 둔황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세계 시장 대화·둔황' 개막식 현장. (사진/신화통신)

이번 행사에 초청받아 참여한 취환(曲歡) 한중문화우호협회장은 "실크로드의 주요 거점인 둔황은 풍부한 역사적 흔적을 간직한 도시이자 다양한 문화가 융합∙호감(互鉴)하는 역사의 현장"이라며 "오늘날 둔황은 문명 간 대화와 상호학습의 중요한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번 행사는 각국의 도시 관리 책임자와 관련 종사자들이 경험을 공유하고 시각을 넓히는 소중한 계기가 됐다며 큰 영감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취 회장이 소속된 한중문화우호협회는 지난 2003년에 설립돼 한국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사단법인으로 등록됐다.

취환(曲歡) 한중문화우호협회장이 13일 '세계 시장 대화·둔황' 행사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신화통신)

한국과 중국은 지리적으로 가깝고 문화적으로 통하는 것이 많아 한국인들에게 둔황 문화는 낯설지 않다. 2007년에는 둔황시 정부와 한중문화우호협회가 공동 주최한 '실크로드-둔황 풍경전'이 서울에서 열리기도 했다.

최근 한국에서 열린 둔황 문화 전시에서는 막고굴(莫高窟)의 대표적인 복제동굴을 비롯한 전시품이 큰 관심을 끌며 전국 각지에서 온 관람객이 서울 전시회를 찾았다. 2016년에는 둔황연구원과 한국 신라문화유산연구원이 협력 협약을 체결해 두 지역 간 인문 교류와 기술 협력을 한층 강화했다.

취 회장은 수년간 한중문화우호협회를 통해 한국과 둔황 간 교류와 상호작용을 꾸준히 이어왔다. 서울에서 '둔황 문화주간'을 열어 한국인에게 둔황의 예술과 문화를 소개하고 둔황석굴 예술에 대한 특강 개최로 둔황연구원 전문가들이 문화재 보존 경험을 공유할 수 있도록 했다.

지난 12일 '세계 시장 대화·둔황(敦煌)' 행사에 참가한 중국 및 해외 귀빈들이 둔황 막고굴(莫高窟)을 방문했다. (사진/신화통신)

이번 재방문을 통해 취 회장은 한층 더 개방적이고 다양하며 활력이 넘치는 둔황을 확인했다. 둔황은 마치 자석처럼 전 세계 학자, 예술가, 관광객을 끌어들이고 있다. 둔황은 앞으로 글로벌 현안 논의에서 더 다양한 역량을 모아 공감대를 형성하고 지혜를 나누는 중심지가 될 것이라는 평가다.

그는 "앞으로도 둔황과의 협력을 지속해 한국에 보다 생생한 중국의 이야기를 전하고 더 많은 한국인들이 직접 둔황을 찾아 이곳의 문화와 역사, 풍습을 체험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부영그룹
한화
포스코
바이오로직스
삼성화재
신한라이프
미래에셋자산운용
LG
KB국민은행_3
KB국민은행_1
LG
동아쏘시오홀딩스
국민카드
삼성증권
쿠팡
빙그레
하이닉스
KB증권
기업은행
신한카드
KB국민은행_4
GC녹십자
농협
우리은행
kb금융그룹
농협
동국제약
KB손해보험
다올투자증권
롯데카드
HD한국조선해양
롯데케미칼
sk
키움증권
하나증권
kb캐피탈
신한라이프
한국증권금융
신한금융지주
한화
부광약품
KB국민은행_2
하나카드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