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6 토요일
흐림 서울 26˚C
맑음 부산 24˚C
흐림 대구 24˚C
흐림 인천 27˚C
맑음 광주 24˚C
흐림 대전 24˚C
흐림 울산 24˚C
흐림 강릉 24˚C
맑음 제주 25˚C
IT

최민희, "KT 해킹 의심" 통보하자… '문제의 서버'부터 서둘러 없앴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선재관 기자
2025-09-05 15:43:41

핵심 서버, 정부 통보에 '조기 폐기'

"계획 변경" vs "증거인멸"

해킹 의혹 서버 폐기 미스터리

KT 광화문빌딩 웨스트 사옥 KT 스퀘어 사진선재관 기자
KT 광화문빌딩 웨스트 사옥 'KT 스퀘어 [사진=선재관 기자]

[이코노믹데일리] 최근 해킹 의혹으로 정부 조사를 받고 있는 KT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관련 사실을 통보받은 직후 문제의 핵심 서버를 당초 계획보다 앞당겨 파기한 것으로 드러나 ‘고의적 증거인멸’ 의혹이 거세지고 있다. KT는 정상적인 시스템 교체 절차였다고 해명했지만 드러난 정황은 이와 정면으로 배치돼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인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5일, KISA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근거로 이같이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KISA는 지난 7월 19일 KT에 특정 서버에 대한 해킹 의심 정황을 통보했다. KT는 이틀 뒤인 21일, 자체 조사 결과 “침해사고 흔적이 없다”고 KISA에 회신했다. 하지만 불과 열흘 뒤인 8월 1일, KT는 KISA가 지목했던 바로 그 ‘원격상담시스템 구형 서버’를 전격 폐기했다.
 
KT 원격상담시스템 구형서버 폐기 경위사진최민희 의원실
KT 원격상담시스템 구형서버 폐기 경위[사진=최민희 의원실]

KT의 해명은 ‘계획된 절차’였다는 것이다. KT는 “신규 구독형 솔루션의 안정성이 3월 시범운용을 통해 충분히 검증됐고 비용 효율성을 고려해 추가 병행 운영 없이 8월 1일 구형 시스템을 퇴역 처리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는 KT의 내부 회의 결과와 정면으로 배치된다. 최민희 의원실이 공개한 KT 내부 회의 자료에 따르면 KT 담당 부서는 KISA의 통보를 받기 전인 7월 2일, ‘신규 솔루션 안정화 기간이 필요해 기존 솔루션을 1~2개월간 병행 운용한다’고 결정했다. 이에 따르면 구형 서버의 폐기는 최소 8월 21일 이후에나 가능했다. 하지만 KT는 KISA의 해킹 의혹 통보를 받은 직후 이 계획을 뒤집고 서버를 조기 폐기한 것이다.
 
KT 원격상담시스템 구형 솔루션 서버 폐기 확인서사진최민희 의원실
KT, 원격상담시스템 구형 솔루션 서버 폐기 확인서[사진=최민희 의원실]

이로 인해 정부의 진상 규명은 사실상 벽에 부딪혔다. KISA는 KT의 회신에도 불구하고 자체 분석을 계속해 문제의 서버가 원격상담시스템 서버라는 사실을 뒤늦게 특정했고 8월 12일 관련 자료 제출을 공식 요청했다. 하지만 KT는 “본 서버 폐기로 제출 불가”라고 답변했다. 폐기된 서버는 물리적 장비가 아닌 복구나 포렌식이 불가능한 가상 서버여서 해킹의 흔적을 찾을 길이 막혀버린 셈이다.

최민희 위원장은 “정부 기관의 해킹 의혹 통보를 받은 뒤 문제의 서버를 폐기한 것은 그 의도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며 “KT가 의도적으로 서버를 폐기했다는 의혹이 한층 더 짙어졌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진상조사를 위해 민관합동조사단을 구성해 낱낱이 파헤칠 필요성이 더 커졌다”며 “과기정통부는 해킹뿐만 아니라 KT의 증거인멸 의혹에 대해서도 철저하게 사실관계를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한국토지주택공사
KB국민은행_3
KB금융그룹_3
현대
우리은행
KB국민은행_1
신한카드
미래에셋
IBK
콜마
KB국민은행_2
우리은행
과실비율정보포털
한화
컴투스
삼성물산
KB금융그룹_2
대신증권
KB금융그룹_1
kt
우리은행
DB그룹
우리은행
신한은행
하나금융그룹
하이닉스
NH농협은행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