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기업 출산장려금 '비과세'…5대 그룹 다니는 엄마아빠 "계 탔네"
기사 읽기 도구
공유하기
기사 프린트
글씨 크게
글씨 작게
2025.05.01 목요일
서울 14˚C
흐림 부산 20˚C
흐림 대구 23˚C
인천 14˚C
광주 18˚C
대전 18˚C
흐림 울산 22˚C
흐림 강릉 21˚C
제주 20˚C
산업

기업 출산장려금 '비과세'…5대 그룹 다니는 엄마아빠 "계 탔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박연수 기자
2024-07-26 20:39:36

5대 기업 중 가장 높은 금액 지급은 포스코

"출산율 반등 위한 조세 방향"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2일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브리핑룸에서 2024년 세법개정안 사전브리핑에서 기자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왼쪽부터 정정훈 기재부 세제실장 최상목 부총리 박금철 기재부 조세총괄정책관사진기재부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2일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브리핑룸에서 '2024년 세법개정안' 사전브리핑에서 기자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왼쪽부터 정정훈 기재부 세제실장, 최상목 부총리, 박금철 기재부 조세총괄정책관)[사진=기재부]
[이코노믹데일리] 기업이 직원에게 지급한 출산지원금에 대해 정부가 세금을 물리지 않는 방안을 추진하며 5대 그룹의 출산지원금 규모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출산지원금이 처음 관심을 받은 건 지난 2월 건설사 부영그룹의 파격 행보 덕이다. 부영그룹이 출산 직원에게 1억원을 출산지원금으로 지급했으나 이에 대한 세금이 2000만원이나 된다는 사실이 알려진 직후 논란이 커졌다.

이후 잠잠해진 출산지원금에 이목이 다시 집중된 건 지난 25일 정부가 출산지원금 비과세 내용이 담긴 세제개편안을 내놓으면서다.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24년 세법개정안’에 따르면 기업이 근로자나 그 배우자가 자녀를 출산한 이후 2년 내, 최대 2회까지 지급한 출산지원금은 전액 비과세한다. 적용 대상은 2025년 이후 지급된 출산지원금이며 올해 1월분부터 소급 적용된다.
 
재계 순위 5위 내 기업(삼성·SK·현대차·LG·포스코)의 출산지원금을 살펴봤더니 첫째 자녀를 출산할 때 가장 많은 지원금을 주는 회사는 현대차와 포스코였다. 300만원을 지급한다. 현대차는 둘째 자녀를 출산하면 400만원, 셋째 자녀 이상 출산하면 500만원을 주고 있다. 포스코는 둘째 자녀 이상 출산 시 500만원이었다. 

삼성은 첫째 자녀 출산에 30만원을 지급하고 둘째를 출산하면 50만원, 셋째 자녀 이상 출산하면 100만원을 주고 있다.

SK그룹은 계열사별 지원 금액이 달랐다. SK 하이닉스의 경우 삼성과 동일하게 30만-50만-100만원 순으로 지급한다. SK에코플랜트는 자녀 한 명당 70만원, SK이노베이션은 100만원을 제공한다. 

LG그룹은 출산지원금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가족친화경영'에 맞게 유연근무제와 육아휴직 확대 등을 추진하고 있다. 다만 출산지원금 지원 제도를 따로 마련할 계획은 없다. 

강선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복지 차원에서 바라보았을 때 출산율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책"이라며 "(출산지원금 세제 개편과 관련해) 기존에 조세 제도가 출산율에 역행한다는 의견에 대응한 것으로 보인다. 출산율 반등을 위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NH투자증
신한은행
미래에셋
메리츠증권
한화
LX
우리은행_2
신한금융지주
우리은행_1
KB
대원제약
DB손해보험
하나금융그룹
DB그룹
국민카드
jw
종근당
NH
관세청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