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1 화요일
맑음 서울 3˚C
맑음 부산 8˚C
맑음 대구 7˚C
맑음 인천 7˚C
흐림 광주 8˚C
흐림 대전 7˚C
흐림 울산 10˚C
흐림 강릉 9˚C
맑음 제주 11˚C
산업

공급망 리스크 커지자…기업들, 조달처 다변화 '촉각'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고은서 기자
2023-11-21 09:26:13

국내 기업 60%, 공급망 리스크 대책 마련

사진연합뉴스
제조기업 302곳 중 60.3%는 '현재 수입 중인 원자재·부품을 대체하는 방안을 마련했거나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제조기업 10곳 중 6곳이 공급망 리스크 대책 마련에 나선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신규 해외 거래처를 찾거나 국내 조달을 통해 대응하고 있다고 답했다.

21일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에 따르면 제조기업 302곳 중 60.3%는 '현재 수입 중인 원자재·부품을 대체하는 방안을 마련했거나 검토 중'이라고 답했다.

'수입 원자재·부품 국내 조달'은 25.7%로 나타났다. 8.7%는 '기존 해외 거래처를 안정적 국가·기업으로 변경'한다고 했고 4.0%는 '수입 원자재·부품을 자체 생산'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해외에서 원자재·부품을 조달하는 과정에서 피해를 경험한 기업은 2년 전보다 28.3%포인트(p) 감소한 38.7%로 집계됐다. 전 세계 공급망에 광범위한 타격을 입힌 코로나19 영향이 감소했고 이후 발생한 요인은 국지적 영향에 그쳤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올해 수입 공급망 피해를 제공한 최대 요인(복수응답)으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45.7%)이 꼽혔고 이어 코로나19 여파 지속(31.0%), 미·중 무역 갈등(28.4%), 환경·탄소중립 규제(11.2%), 이스라엘·하마스 전쟁(7.8%) 등 순이다.

피해 내용은 단가 상승에 따른 비용 증가(87.9%), 물류 차질(27.6%), 조달 지연에 따른 생산 차질(24.1%) 등으로 나타났다.

수입 공급망 안정을 위한 정책과제로는 '조달처 다변화에 따른 물류·통관 지원'을 꼽는 응답이 33.7%(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신규 조달처 확보를 위한 정보 제공'을 제시한 응답이 20.0%로 뒤를 이었고 '수입 품목 국산화 지원'이 24.3%, '안정적 교역을 위한 외교협력 강화'는 14.3%로 조사됐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공급망 다변화와 자립화를 위해 신규 공급선 물류지원, 수입품목 국산화 투자, 리쇼어링 인센티브 강화 등 전폭적 정책 지원이 절실한 시점"이라며 "이번 조사는 2년간 변화를 조사한 단기 비교로 장기 추세 파악에 한계가 있어 향후 공급망 피해 현황과 대응 실태를 지속적으로 조사해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하나금융그룹
한화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
삼성전자
NH
kb금융그룹
NH투자증
DB손해보험
삼성화재
한화
신한금융지주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이닉스
씨티
경주시
포스코
교촌
삼성증권
카카오
한국투자증권
롯데캐슬
db
스마일게이트
SC제일은행
KB국민은행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