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EU 내 탄소배출권 가격 급등세..."정부 인센티브 늘려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문은주 기자
2023-02-27 16:08:15

21일 처음으로 톤당 100유로 넘어...추가 상승 가능성

[이코노믹데일리] 유럽 내 탄소배출권 가격이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향후 더 오를 가능성이 점쳐지는 가운데 탄소중립 등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관련 부담이 늘어날 수 있는 기업들을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인센티브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21일(현지시간) 기준 탄소배출권 가격이 한때 105유로(약 14만 6513원) 수준까지 치솟는 등 처음으로 톤당 100유로를 넘어섰다. 지난 2005년 탄소배출권 시장이 출범한 이후 사상 최고 수준이다. 26일 현재 102.14유로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에너지 위기가 고조되면서 유럽연합(EU) 내 화석 연료 전환율이 높아진 데다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도입이 확정되면서 탄소배출권 시장이 들썩인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탄소배출권은 국제연합(UN) 소속 기구에 온실가스 감축 사실을 확인 받은 뒤 획득할 수 있는 권리다. 주식이나 채권처럼 거래가 가능한 만큼 친환경 정책을 강화하는 기업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문제는 오는 10월 CBAM 도입을 전후해 탄소배출권 가격이 더 상승할 수 있다는 것이다.

CBAM은 EU가 2000년대 중반부터 운영해온 온실가스배출권거래제도(ETS)의 확장판이다. ETS는 기업이 배출할 수 있는 온실가스 양에 상한선을 설정하고 한도 내에서 허용된 배출량을 구매할 수 있는 제도다. CBAM은 ETS와 연계해 탄소 배출량 제한 기준을 한층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철강·시멘트·알루미늄·수소 등 6개 품목을 EU로 수출할 경우 탄소 배출량 추정치를 바탕으로 관세를 징수하는 근거를 마련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른바 '탄소국경세'로도 일컬어진다. 

이런 움직임은 궁극적으로 탄소 배출량 감소에 도움이 되겠지만 수출 기업 입장에서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특히 EU에 수출하는 기업의 경우 EU 탄소배출권 가격과 한국 탄소배출권 가격의 차액까지 비용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문제는 국내 기업들 가운데 탄소중립 정책에 대규모 투자를 하지 못하는 기업들이 적지 않다는 점이다.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가 국내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목표 관리제 대상 기업 1000개사 중 응답 기업 400고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66.0%가 탄소중립 이행을 위해 ‘탄소감축 설비 투자계획이 있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34.0%는 별도의 투자 계획이 없다는 답변을 내놨다. 투자 계획을 하지 못한 이유로는 ‘투자자금 조달의 어려움’(42.5%)을 가장 많이 꼽았다. ‘감축수단·기술 부족’(33.1%), ‘배출량 감소로 투자 불필요’(11.9%), ‘배출권 가격 등 투자 인센티브 불확실성’(8.8%) 등도 뒤를 이었다.

기업들은 또 탄소중립을 위해 시급한 정부 정책과제로 △투자자금 지원 확대(33.0%) △제도 개선 (24.0%) △감축기술 개발·보급(17.9%) △투자 인센티브 확대(12.8%) △기후테크 기업 육성(9.0%) 등을 꼽기도 했다.

EU가 추진하고 있는 CBAM과 관련한 지원 요청 사항으로는 응답 기업 중 30.1%가 ‘제도 설명 및 정보 제공’(30.1%)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서 ‘대응전략 수립 지원’(20.6%), ‘배출량 상호인증 등 부담 최소화 방안 마련’(17.8%), ‘대상여부 확인 등 안내데스크 운영’(11.9%), ‘행정 대응지원’(9.3%), 배출량 산정 지원(9.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국내 기업이 탄소중립을 기회 삼아 도전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려는 상황인 만큼 정부는 과감한 자금 지원과 인센티브 확대를 통해 적극적인 투자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라며 "해외에서도 적극적으로 감축할 수 있도록 상쇄배출권 사용 한도를 10%로 확대하는 등의 제도 개선 과제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럽연합(EU) 내 탄소배출권 가격이 사상 처음으로 톤당 100유로를 넘어섰다. EU에 수출하는 한국 기업들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픽사베이]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kb금융그룹
신한금융지주
DB
kb_지점안내
하이닉스
하나증권
메리츠증권
우리은행
스마일게이트
미래에셋자산운용
KB희망부자
신한금융
기업은행
하나금융그룹
lx
여신금융협회
부영그룹
KB금융그룹
한화손해보험
미래에셋
보령
신한은행
대한통운
신한라이프
KB증권
주안파크자이
한화손해보험
국민은행
넷마블
경남은행
NH투자증권
KB희망부자
대원제약
KB희망부자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