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美 금리 정점 5%대…韓, 인상기조 속 과잉긴축 경계령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신병근 기자
2022-12-01 07:00:00

내달 美 최소 빅스텝…양국 금리차 125bp 전망

단기자금시장 불안·가계 부실…속도조절 무게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24일 올해 마지막 기준금리(3.25%)를 결정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이후 기자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이코노믹데일리] 통화당국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이르면 내년 1분기에 꺾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외화 유출 등의 위험요소(리스크)를 막고자 미국과의 금리 역전 폭을 줄여야 하는 것이 순리이지만 국내 가계대출의 이자 부담과 부실, 단기자금시장 불안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금리 인상세에 제동이 걸릴 것이 예상된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12월 13~14일 미국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현 4.00% 기준금리 상단을 0.50%포인트 올리는 '빅스텝' 단행이 유력하게 점쳐지고 있다. 치솟는 물가를 잡겠다는 의지를 올해 마지막 FOMC에서도 명확히 드러낼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올해 사상 처음 6연속 기준금리를 올리며 3.25%로 마감한 가운데, 미 연준이 밟을 이번 빅스텝 파장은 연초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시장에서는 미국의 기준금리 정점을 5%대로 바라보는 시각이 대체적인데, 올해 4.50%로 마감할 것을 가정한다면 한국과의 차이는 125bp(1bp=0.01%포인트)를 나타낸다. 이런 실정에서 미 연준이 내년 초 2차례가량 베이비스텝(한 번에 0.25%포인트 기준금리 인상)을 밟고 속도 조절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연준도 "향후 인상 속도 결정 시 긴축정책의 누적효과 및 경제활동과 물가상승(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시차, 경제·금융 동향을 고려한다"는 입장을 직전 FOMC 성명서에 명시했다. 단순한 인상속도 보다는 최종 금리수준과 지속기간이 중요하다고 강조한 제롬 파월 연준 의장 발언은 이 같은 속도 조절론에 힘을 실었다.

한은의 통화정책 방향도 동조할 관측으로, 올해까지 정책 우선순위가 물가 안정에 초점이 맞춰졌다면 내년부터는 경기 불안요소를 해소하는 데 방점을 찍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당국이 우려한 고환율과 관련해서도 이달 중순부터 1300원대 초중반을 기록하며 점차 안정세를 보였고, 이에 연계한 추가 물가상승 위험도 다소 낮아진 상황이다.

특히 단기자금시장을 둘러싼 불안 불씨가 여전히 남아있다. 올해 말 한전채와 은행채 등 우량등급 신용채권 발행 급증과 관련해 구축 효과에 따른 저신용등급 채권의 금리 상승 압력이 커지는 상황 역시 한은의 금리인상 폭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부동산 경기가 장기 침체에 빠질 경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을 고려한 기피 현상이 지속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강원도 레고랜드 사태 여진이 아직 남아 있어 신용 이벤트 현실화 우려가 급속히 확산한 것은 사실"이라며 "단기자금, 신용채권시장 전반에 신용위험 경계감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기준금리를 놓고 연초에 불거질 상방 리스크는 다소 해소된 분위기이지만 선반영된 시장금리는 최종 금리 전망 수준을 반영한 구간에서 하방 경직성을 보일 전망도 따른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KB희망부자
하나증권
신한라이프
하이닉스
신한금융지주
DB
메리츠증권
한화손해보험
부영그룹
NH투자증권
기업은행
경남은행
여신금융협회
신한은행
kb_지점안내
kb금융그룹
국민은행
KB희망부자
미래에셋자산운용
KB증권
스마일게이트
우리은행
주안파크자이
신한금융
하나금융그룹
한화손해보험
KB희망부자
KB금융그룹
대원제약
보령
넷마블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