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안정지수 '주의' 진입...非수도권 가계대출 뇌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혜지 기자
2019-09-26 14:56:55

금융안정지수가 '주의' 단계에 진입했다. [표=한국은행]

 금융안정지수가 지난달 주의 단계에 진입했다. 특히 비수도권 가계대출 건전성이 크게 악화한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26일 한국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금융안정지수는 올해 3월 이후 상승해 지난달 주의 단계(8∼22)인 8.3을 나타냈다. 금융안정지수가 주의단계에 진입한 것은 중국 증시와 국제유가가 폭락했던 2016년 2월(11.0) 이후 3년 6개월 만이다.

한은은 금융안정지수 상승 배경에 대해 "미중 무역분쟁, 일본 수출규제 등 대외여건 악화에 따른 경제주체의 심리 위축, 자산시장에서의 불확실성 증대가 주로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가계부채는 2분기 말 기준 1556조1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4.3% 늘어 증가세가 둔화했다. 2분기의 가계부채 증가율은 2004년 3분기 말(4.1%)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다만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전년 대비 2.4%포인트 오른 159.1%(한은 추정치 기준)로, 여전히 소득 증가속도가 부채 증가속도에는 미치지 못했다.

문제는 비수도권의 가계부채 건전성이 2017년부터 점차 저하하고 있는 것이다. 전체 가계대출 가운데 비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2년 말 39.4%에서 올해 2분기 말 43.5%로 커졌다. 수도권의 담보인정비율(LTV)은 2012년 49.8%에서 올해 2분기 말 49.4%로 떨어진 반면, 이 기간 비수도권의 LTV는 50.1%에서 56.2%로 상승했다.

집값이 크게 오른 수도권과 달리 경남권 등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한 비수도권의 주택가격 하락이 담보가치를 떨어뜨려 비수도권 가계대출의 질을 더욱 악화시킨 것이다.

소득에 견준 원리금 상환 부담을 가리키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역시 비수도권(37.1%)이 수도권(36.3%)보다 높았고, DSR가 100%를 초과하는 대출 비중도 비수도권(32.6%)이 수도권(27.3%)을 상회했다.

특히 비수도권 취약차주의 연체대출 비중이 2016년 말 20.5%에서 2분기 말 27.7%로 상승했다. 한은은 "비수도권 대출 비중이 높은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리스크 관리 강화 등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신한금융지주
미래에셋
우리은행
e편한세상
LX
DB
한국유나이티드
한화
롯데캐슬
종근당
NH투자증
대한통운
DB손해보험
KB금융그룹
신한은행
KB국민은행
여신금융협회
신한금융
KB증권
SK하이닉스
하나금융그룹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