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129건
-
-
-
상반기 금융지주 당기순이익 15.4조 '역대 최대'…전년比 9.9%↑
[이코노믹데일리] 올해 상반기 금융지주회사의 당기순이익이 은행·증권 중심으로 15조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대를 경신했다. 4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5년 상반기 금융지주회사 경영실적(잠정)'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10개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NH·iM·BNK·JB·한투·메리츠)의 연결당기순이익은 15조442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조3872억원(9.9%) 증가했다. 이는 반기 기준 최대 규모다. 자회사 등 권역별 이익(개별당기순이익 기준) 비중은 은행이 59.0%로 가장 높았고, 금융투자 16.4%, 보험 13.4%, 여신전문금융사(여전사)등 7.5% 순이었다. 업권별로는 은행이 1조6898억원, 금융투자가 439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각각 19.3%, 17.9%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보험 932억원, 여전사 등 3343억원으로 3.8%, 20.0%씩 감소했다. 금융지주의 연결 총자산은 6월 말 기준 3867조5000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112조8000억원(3.0%) 증가했다. 같은 기간 은행지주회사의 총자본, 기본자본, 보통주자본비율 등 자본 적정성 지표는 각각 15.87%, 14.88%, 13.21%로 전년 말보다 소폭 상승했다. 규제 비율도 모두 상회했다. 금융지주의 6월 말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04%로 지난해 말 대비 0.14%p 상승했다. 손실흡수능력을 판단하는 지표인 대손충당금적립률은 104.3%로 전년 말보다 18.0%p 하락했다. 같은 기간 부채비율은 29.0%로 0.9%p 상승했고, 자회사 출자여력을 보여주는 이중레버리지비율은 112.1%로 1.2%p 하락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상반기 금융지주는 총자산 증가와 당기순이익 확대 등 양호한 실적을 시현했다"며 "다만 선제적 자산건전성 관리를 위한 금융지주 차원의 완충능력 확보와 지속적인 차주의 이자 상환 부담 완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25-11-04 09:00:18
-
-
대우건설, 3분기 영업이익 566억원… 누적 이익 2.9%↑
[이코노믹데일리] 대우건설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56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623억원) 대비 9.1% 감소했지만, 누적 기준으로는 2.9% 증가하며 내실 경영 성과를 이어갔다. 대우건설은 31일 잠정 실적 발표를 통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1조9906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2조5478억원) 대비 21.9% 줄어든 수치다. 사업 부문별로는 주택건축 1조3220억원, 토목 4089억원, 플랜트 2195억원, 기타 연결 종속부문 402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3분기 누계 매출은 6조3406억원으로 전년 동기(7조8566억원)보다 19.3%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2901억원으로 2819억원이던 지난해보다 2.9% 늘었다. 영업이익률은 4.6%로, 전년 동기보다 1.0%포인트 개선됐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진행 현장 수 감소로 매출은 줄었지만 내실 경영을 통해 수익성을 유지했다”며 “원가 절감과 품질 중심 경영이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신규 수주는 큰 폭으로 늘었다. 3분기 누계 수주액은 11조1556억원으로 전년 동기(7조3722억원)보다 51.3% 증가했다. 부산 ‘서면써밋더뉴’(1조5162억원), 수원 망포역세권 복합개발(7826억원), 의정부 ‘탑석푸르지오파크7’(6421억원) 등 자체 수익성 높은 사업이 실적을 견인했다. 이에 따라 연간 수주목표 14조2000억원의 78.6%를 달성했다. 3분기 말 기준 수주잔고는 48조8038억원으로, 이는 연간 매출액의 4.6년 치에 해당한다. 2024년 말 기준 수주잔고(44조4401억원) 대비 9.8% 증가해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대우건설은 건설시장 침체 속에서도 해외시장 확대와 리스크 관리 중심의 내실 경영을 지속할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매출과 수주 모두 연초 계획 대비 양호한 수준”이라며 “남은 기간 양질의 수주 확보와 리스크 관리에 역량을 집중해 목표 달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2025-10-31 09:29:59
-
-
-
-
-
-
-
-
-
-
유가·환율 오름세에 수입 물가 석 달째 상승
[이코노믹데일리] 지난달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서 수입 물가가 석 달째 상승했다. 1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20년 수준 100)는 135.43으로, 전월(134.21) 대비 0.2% 올랐다. 지난 7월부터 석 달 연속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원재료는 원유가 올랐으나 천연가스(LNG)가 내리면서 광산품(-0.2%)을 중심으로 0.1% 하락했다. 중간재는 1차금속제품(1.3%), 컴퓨터·전자·광학기기(0.7%), 석탄·석유제품(1.3%) 등이 오르면서 0.5% 상승했다. 자본재는 0.2% 하락했으나, 소비재는 0.1% 상승했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커피(7.6%), 제트유(3.4%), 동정련품(3.1%), 기타귀금속정련품(4.5%), 신선수산물(3.4%) 등의 상승 폭이 컸다.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면서 수입 물가가 올랐다고 한은은 분석했다. 원·달러 환율은 올해 8월 평균 1389.66원에서 9월 1391.83원으로 0.2% 상승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선 4.3% 오른 수치다. 같은 기간 국제유가는 두바이유 기준(월평균·배럴당) 69.39 달러에서 70.01 달러로 0.9% 올랐다. 다만 전년 동기보다는 4.8% 하락했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이달 수출입 물가 전망과 관련해 "10월 들어 두바이유 가격이 전월 대비 7.3% 하락했지만 원·달러 환율은 1.7% 상승했다"며 "국제 유가와 환율이 상반된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 국내외 여건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 월말까지 추이를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9월 수출물가지수(원화 기준)는 8월(128.69)보다 0.6% 오른 129.50으로 집계됐다. 수출 물가도 석 달 연속 오름세다. 품목별로 농림수산품이 전월 대비 0.6% 올랐고, 공산품도 석탄·석유제품(2.1%), 컴퓨터·전자·광학기기(0.7%) 등을 중심으로 0.6% 상승했다. 세부 품목 중에는 은괴(12.3%), 동정련품(3.4%), 경유(3.3%), D램(2.1%) 등이 큰 폭으로 올랐다. 9월 무역지수(달러 기준)는 수입물량지수(124.50)와 수입금액지수(144.63)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13.7%, 7.8%씩 상승했다. 수출도 물량지수(137.23)와 금액지수(152.00)가 각각 14.4%, 12.0%씩 뛰었다.
2025-10-17 14:2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