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105건
-
-
-
GS건설, 1분기 신규수주 41% 증가…"내실 기반 수익성 강화 주력"
[이코노믹데일리] GS건설이 2025년 1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하며 내실 중심의 수익 구조 강화에 방점을 찍었다. 어려운 대외 환경 속에서도 4조원이 넘는 신규 수주를 기록하며 연간 목표의 30% 이상을 조기 달성했다. GS건설은 30일 공시를 통해 2025년 1분기 연결기준 매출 3조629억원, 영업이익 704억원, 세전이익 406억원, 신규수주 4조6553억원의 실적을 잠정 집계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3조709억원) 대비 0.26% 소폭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704억원으로 전년 동기(705억원)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반면 신규수주는 1년 전(3조3018억원)보다 41% 급증하며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다. 사업본부별로는 건축·주택사업 매출이 2조96억원, 플랜트사업이 2836억원, 인프라사업이 3455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인프라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30.8% 증가하며 가장 높은 성장률을 나타냈다. 주요 수주 성과로는 복산1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1조1392억원), 오산내삼미2구역 공동주택사업(5478억원), 신림1재정비촉진구역 재개발사업(4616억원) 등이 포함됐다. 이 외에도 플랜트 및 인프라 부문에서도 총 7000억원이 넘는 신규 수주를 확보했다. 올해 GS건설이 제시한 연간 신규수주 가이던스는 14조3000억원이며, 이번 1분기 실적은 그중 32.6%를 달성한 수치다. 업계에서는 불확실한 국내외 경기 속에서도 GS건설이 축적된 기술력과 정비사업 중심의 안정적인 수주 전략으로 실적 방어에 성공하고 있다는 평가다. GS건설 관계자는 “불확실한 경제 환경이 이어지는 가운데 외형 성장보다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수익성과 지속가능성을 강화하는 전략을 지속할 것”이라며 “안정적인 실적 기반 위에서 지속 가능한 경영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2025-04-30 13:19:50
-
-
DL이앤씨, 1분기 영업이익 33% 증가…수익성 개선세 뚜렷
[이코노믹데일리] DL이앤씨가 올해 1분기 수익성 개선에 성공하며 실적 회복 흐름을 이어갔다. DL이앤씨는 2025년 1분기 연결기준 잠정 실적을 발표하고 매출 1조8082억원, 영업이익 810억원, 신규 수주 1조5265억원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은 33% 증가했고, 영업이익률도 1.3%포인트 개선됐다. 부동산 경기 침체와 건설업황 부진 속에서도 탁월한 위기관리 능력을 바탕으로 한발 앞선 수익성 개선세를 보였다. 사업 부문별 신규 수주를 보면 주택 사업이 1조463억원, 토목 사업이 1660억원, 플랜트 사업이 1032억원을 기록했다. 자회사 DL건설도 2110억원을 수주했다. 특히 주택 부문에서 성남 수진1구역(3117억원), 신림1구역(2885억원), 대전 삼성1구역(2173억원) 등 대규모 재개발 사업 수주에 성공했다. 수익성 개선의 주요 지표인 원가율도 안정세를 이어갔다. 연결기준 1분기 원가율은 89.3%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3개 분기 연속 90% 이하를 유지했다. 주택 사업 부문의 경우 원가율이 전년 동기 93.0%에서 90.7%로 개선돼 전사 수익성 회복을 견인했다. 재무 안정성도 업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1분기 말 기준 부채비율은 102.8%, 차입금 의존도는 11%에 불과하다.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전기 대비 552억원 증가한 2조1263억원, 순현금은 262억원 늘어난 1조202억원을 기록했다. DL이앤씨는 6년 연속 건설업종 최고 수준인 ‘AA-’ 신용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DL이앤씨 관계자는 “경기 침체와 대내외적 불확실성이 고조된 상황에서도 철저한 리스크 관리와 수익성 중심의 사업 전략을 통해 1분기 실적 개선을 이뤄냈다”며 “앞으로도 양질의 신규 수주를 확대해 실적 회복세를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04-29 16:10:44
-
대우건설, 2025년 1분기 영업이익 31.8% 증가…수익성 개선 지속
[이코노믹데일리] 대우건설이 올해 1분기 수익성 개선을 바탕으로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는 실적을 기록했다. 대우건설은 2025년 1분기 연결기준 잠정 경영실적을 발표하고 매출 2조767억원, 영업이익 1513억원, 당기순이익 580억원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5%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31.8%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36.6% 줄었다. 매출 부문별로는 주택건축사업이 1조3816억원, 토목사업이 4150억원, 플랜트사업이 2270억원, 기타 연결종속 부문이 531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시장 전망치(FN가이드 기준 2조1582억원)에는 미치지 못했으나 영업이익(849억원 예상)과 당기순이익(511억원 예상)은 모두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진행 현장 수 감소로 매출이 다소 줄었으나 주택건축과 플랜트 부문의 수익성 개선으로 영업이익이 증가했다"며 "내실 경영 기조를 유지하고 해외 고수익 프로젝트 수주를 통해 연간 사업계획 달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규 수주는 2조823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4% 증가했다. 주요 수주 프로젝트로는 서울 개포주공5단지 재건축(6970억원), 인천 청라국제업무지구 B1BL 오피스텔(4795억원), 청주 미평동 공동주택(3953억원) 등이 있다. 대우건설의 현재 수주잔고는 45조129억원으로, 이는 연간 매출 대비 약 4.3년 치 일감에 해당한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올해 1분기 매출은 연간 계획 대비 25%, 신규 수주는 20%의 달성률을 기록해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선방했다"며 "도시정비사업 수주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최근 기본합의서를 체결한 투르크메니스탄 비료플랜트, 체코 원전, 이라크 해군기지 등 대규모 해외사업 수주를 통해 실적 확대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5-04-29 09:23:59
-
-
JB금융, 1분기 순이익 감소…BNK금융과 희비 엇갈리나
[이코노믹데일리] 지방금융지주 중 가장 먼저 올해 1분기 실적을 내놓은 JB금융의 실적이 감소함에 따라 BNK금융과 희비가 엇갈릴지 주목된다. 25일 JB금융의 경영실적 공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지배지분 기준)은 1628억원으로, 이는 전년 동기 대비 6.0% 감소한 수치다. 주요 수익성 지표인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1.6%,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99%를 기록했다. 경영 효율성을 가늠할 수 있는 영업이익경비율(CIR)은 탑라인(Top-Line) 확대와 지속적인 비용 관리 노력에 힘입어 전년 대비 0.6%p 개선된 36.7%를 실현했다. 보통주자본(CET1)비율(잠정)은 전년 말 대비 0.07%p 개선된 12.28%를 기록하며 12%대의 안정적 수준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그룹 측은 설명했다. 핵심 계열사인 전북은행과 광주은행은 1사분기에 충당금 추가적립, 명예퇴직금 증가 등 일시적 특이요인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순이익이 감소했다. 전북은행은 8.6% 감소한 515억원, 광주은행은 8.7% 감소한 670억원을 거뒀다. 반면 비(非)은행 계열사의 활약은 두드러졌다. JB우리캐피탈은 전년 대비 3.5% 증가한 585억원을 기록해 그룹 실적을 견인했다. JB자산운용은 29억원, JB인베스트먼트는 10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 손자회사인 캄보디아 프놈펜상업은행(PPCBank)은 전년 대비 44.0% 증가한 102억원을 시현했다. JB금융 이사회는 주주가치 제고 및 주주환원 정책 일환으로 보통주 1주당 현금 160원의 분기배당을 결정했다. JB금융 관계자는 "안정적인 자본비율을 기반해 손실흡수능력을 확보하고,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주주환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날 JB금융 실적 공개에 이어 오는 25일 BNK금융, 28일 iM금융이 각각 1분기 실적 발표를 앞둔 가운데 JB금융의 1분기 실적이 하락함에 따라 BNK금융은 웃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BNK금융의 올해 1분기 순이익 전망치는 202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대내외 경기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지역경제 침체도 장기화하면서 지방금융사들의 경영 환경이 악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해 1분기 JB금융의 당기순이익은 1732억원, BNK금융은 2495억원을 기록한 바 있다.
2025-04-25 06:51:34
-
-
-
-
-
동원F&B, 상폐 후 동원산업 완전 자회사로…'글로벌 식품 사업군' 출범
[이코노믹데일리] 동원F&B가 자진상폐 후 동원산업 100% 계열사로 편입된다. 이는 동원그룹이 글로벌 식품 사업을 대폭 강화하기 위한 사업구조 재편의 일환이다. 15일 동원그룹에 따르면 지주사인 동원산업은 동원F&B를 100% 자회사로 편입하고, 국내외 식품 4개사를 사업군(Division)으로 묶기로 했다. 앞서 동원산업과 동원F&B는 14일 이사회를 열고 포괄적 주식교환 계약 체결안을 의결했다. 이에 따라 동원산업은 보통주 신주를 발행해 동원F&B 주주에게 1(동원산업):0.9150232(동원F&B)의 교환 비율로 지급할 예정이다. 두 회사의 주식교환 비율은 자본시장법 시행령에 따라 산정됐다. 주식교환이 마무리되면, 동원F&B는 동원산업의 100% 자회사로 편입되고 상장 폐지된다. 주식교환 안건을 의결하기 위한 주주총회를 오는 6월 11일(잠정) 개최할 계획이다. 반대하는 주주는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청구 가격은 관련 법령에 따라 동원산업 3만5024원, 동원F&B 3만2131원으로 결정됐다. 동원산업의 신규 발행주식 수는 주식매수청구가 종료되는 7월 1일 이후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이번 주식교환은 동원산업이 동원F&B와 함께 주도적으로 글로벌 식품 시장에 적극 진출해 제2의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사업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전략적 판단을 바탕으로 이뤄졌다. 동원산업은 동원F&B 100% 자회사 편입 이후 동원홈푸드, 스타키스트(Starkist), 스카사(S.C.A SA) 등 식품 관련 계열사를 ‘글로벌 식품 디비전(division)’으로 묶어 글로벌 사업의 전략적 추진과 시너지 창출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그룹 식품사업의 해외 매출 비중을 2024년 기준 22%에서 2030년까지 40%로 늘릴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계열사에 흩어져 있는 연구개발(R&D) 조직을 ‘글로벌R&D센터’로 통합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신제품 개발에 주력할 방침이다. 작년 기준 0.3%(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인 R&D 예산을 2030년까지 1%대로 3배 이상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미국 자회사인 스타키스트의 광범위한 유통망을 활용해 북미 및 중남미 시장의 판로 개척을 가속화하기로 했다. 그 일환으로 기존 동원F&B와 스타키스트의 스테디셀러로 구성한 결합 상품을 출시하는 동시에 통합 R&D를 통한 신제품도 함께 선보일 계획이다. 동원F&B는 동원산업 산하의 참치어획·캔가공 자회사인 세네갈의 스카사_S.C.A SA, 캅센_CAPSEN.SA 등과 협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회사 측은 중장기적으로 중동과 유럽시장 진출의 교두보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동원산업 주도로 빠른 성장을 위한 인수합병(M&A)도 추진할 방침이다. 동원그룹 관계자는 “국내 식품 시장은 경제성장률 하락과 내수 침체, 경쟁 심화의 구조적 변화로 글로벌 진출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흩어져 있는 식품 사업 역량을 한데 모아 시너지를 창출해 글로벌 식품 시장에서 제2의 도약을 이뤄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2025-04-15 09:36: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