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
한행하 작가, 2024 경기 반려식물 축제 정원작품 대상 수상
2024 경기 반려식물 축제에서 행사장 입구를 장식한 한행하 작가의 작품들이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17일 경기도 수원시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성황리 개최된 2024 경기 반려식물 축제에서 한행하 작가는 ‘허브를 나의 가슴으로 품다’와 ‘잎과 꽃과 열매’라는 두 개의 반려식물 정원 작품을 출품해 대상을 수상했다. 허브를 나의 가슴으로 품다는 ‘나만의 허브와 함께 나만의 향기를 즐기고 느끼고, 기를 수 있다는 행복함과, 허브를 사랑하는 마음을 전하고 싶다’는 작가의 마음을 담았다. 각양각색의 모습으로 멋스럽게 꾸며진 허브의 모습과 치유와 힐링을 선사하는 향은 관람객들의 발길을 멈추게 했다. 꽃과 열매를 통해 인생의 일대기를 표현한 잎과 꽃과 열매는 식물의 탄생과 성장, 그리고 시들어가는 모습이 인간의 삶과 닮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화려한 꽃과 열매 이면에 숨겨진 인생의 고난과 슬픔, 그리고 그 안에서 피어나는 희망을 관람객들과 공감한다는 취지로 꾸며진 작품이다. 한행하 작가는 "반려식물 축제에 참여하게 돼 영광이며, 많은 관람객들이 작품을 통해 기쁨을 느끼고 반려식물의 아름다움을 경험하는 모습을 보며 큰 보람을 느낀다"며 "식물의 일대기를 통해 인생의 의미를 되새기고,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삶의 중요성을 깨닫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행하 작가의 작품은 단순한 전시를 넘어 관람객들에게 깊은 감동과 울림을 선사하며,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공존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중증장애인들이 함께 준비한 이번 작품은 ESG경영과 탄소중립을 위해 전시에 사용한 모든 소재와 제품은 친환경 제품을 사용했다. 한행하 작가는 용인 소재의 조경회사 ㈜그린이엔지 대표이사와 꽃사랑영농조합법인 이사로 재직 중이며, 중증장애인들의 자립과 취업활동 적응을 위한 교육에도 힘쓰고 있다. 한편 17일 개막해 18일까지 진행되는 2024 경기 반려식물 축제에는 반려식물 나눔행사를 비롯해 반려식물 체험행사와 공연, 페이스페인팅, 삐에로 공연 등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해 참관객들의 즐거움을 더했다.
2024-11-18 12:46:02
-
-
-
-
-
-
-
-
-
-
-
한컴, B2B·B2G 실증사업 가속화…AI 상용화 임박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가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을 대상으로 AI 실증사업(PoC)을 본격적으로 확대하며 디지털 전환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경기도청, 한국전력공사, BGF리테일 등과 협력 중인 한컴은 연내 한컴어시스턴트, 한컴피디아, 한컴데이터로더 등 주요 AI 제품을 정식 출시할 계획이다. 한컴은 다양한 기관 및 기업과 진행한 PoC를 통해 업무 효율성 향상과 프로세스 개선을 실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유통 기업에서는 한컴피디아를 통해 영업 관리자와 MD 간 업무 소통이 자동화되어 반복 업무가 줄었고, 실시간으로 질의응답이 가능해졌다. 공공기관에서도 효과가 두드러진다. 한 기관은 한컴피디아를 활용해 인사·노무 규정 확인 과정을 혁신했다. 신규 입사자는 자연어로 질문하면 즉각적인 답변을 받을 수 있어 업무 적응 속도가 빨라졌다. 특히, PoC 과정에서 고객사의 내부 문서 기반으로만 답변을 생성하는 RAG(검색 증강 생성) 기술을 적용해, AI 답변의 신뢰성을 높였다. 한컴어시스턴트와의 연계도 주목된다. 이 기술은 신입 직원들이 매뉴얼을 스스로 학습하고, 보고서를 빠르게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 기본적인 업무 처리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이고 있다. 한컴은 이러한 PoC 성공 사례를 기반으로 시범 사업을 정식 사업으로 전환해 매출 확대를 꾀하고 있다. 또한, 실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해 제품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데도 주력하고 있다. 최근 한컴은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712억 원, 영업이익 85억 원을 기록하며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4.9%, 159.9%의 성장률을 달성했다. 이는 AI 기술이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한컴은 연내 AI 통합 브랜드인 한컴 브레인(BRAIN)을 중심으로 다양한 산업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다. 김연수 대표는 "앞으로도 한컴만의 AI 제품으로 더 많은 기관·기업과 협력을 늘려갈 것"이라며 "공공 서비스 혁신 및 기업의 디지털 전환 등 업무 효율화에 이바지하며 시장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4-11-18 09:2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