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믹데일리] 대우건설이 최근 불거진 ‘철근 축소 부실시공’ 보도에 대해 정면으로 반박하고 나섰다. 일부 언론이 내부 설계 지침의 특정 문구를 발췌해 의도적으로 왜곡했다는 주장이다. 대우건설은 문제의 표현이 최종 설계나 시공 지시가 아니라 설계 중간 단계의 절차 설명일 뿐이며 실제 시공 과정에서 안전성에 문제가 없었다고 강조했다.
14일 대우건설은 입장문을 통해 “‘일정 부족시 배근축소하여 접수’라는 문구를 근거로 마치 철근을 줄여 시공하는 관행이 있는 것처럼 보도됐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해당 문구는 설계 초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특수 상황을 기술한 것이며, 이후 약 3개월에 걸쳐 상세 구조계산과 배근 설계를 거쳐 최종 도서를 접수하는 절차가 명확히 규정돼 있다는 설명이다.
대우건설은 이를 ‘패스트트랙(Fast Track)’ 설계·시공 병행 방식의 한 부분이라고 해석했다. 패스트트랙은 사업 기간 단축을 위해 개략 설계를 먼저 진행하고, 공사 착수 전까지 상세 설계를 보완하는 방식이다. 회사 관계자는 “개략설계 단계에서 임시적으로 배근을 조정할 수 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후속 설계 보완과 감리 절차를 전제로 한다”고 말했다.
논란의 불씨가 된 서울 은평구 불광동 사업장과 관련해서도 대우건설은 선을 그었다. 이 현장은 시행사가 설계를 진행하고 대우건설이 제공받은 도면에 따라 시공만 맡은 구조였기 때문에, 회사의 내부 설계 지침이 적용될 여지가 없었다는 것이다.
또한 최근 법원이 실시한 감정 결과 해당 건물은 안전 등급 A로 판정됐고, 논란이 된 일부 띠철근 누락 구간도 이미 보강이 완료됐다고 덧붙였다. 대우건설은 “시공 과정과 도면 절차 모두에 문제가 없었다는 점이 법원 감정을 통해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대우건설은 내부 지침 문구가 ‘원가 절감’과 같은 맥락으로 잘못 해석돼 전달됐다고 주장했다. 특히 설계 지침 전체 맥락이 아닌 일부 표현만 부각시키는 방식의 제보와 보도가 기업 이미지에 심각한 타격을 준다고 지적했다.
업계 일각에서는 이번 논란이 ‘패스트트랙’ 설계 방식에 대한 일반인들의 낮은 이해도와, 일부 문구를 둘러싼 해석 차이에서 비롯됐다고 본다. 한 건설 전문가도 “패스트트랙은 시간 단축에 유리하지만, 설계·시공 간 긴밀한 보완이 필수”라며 “문구 자체보다는 이후 절차와 품질 검증이 더 중요한 평가 기준”이라고 말했다.
대우건설은 앞으로도 재무 안정성과 함께 안전·품질 관리 강화에 힘을 쏟겠다는 방침이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일을 계기로 설계 지침에 대한 설명과 대외 소통을 강화하겠다”며 “근거 없는 왜곡 보도에는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