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요일
맑음 서울 -0˚C
맑음 부산 6˚C
맑음 대구 4˚C
흐림 인천 2˚C
흐림 광주 5˚C
맑음 대전 2˚C
흐림 울산 4˚C
흐림 강릉 1˚C
흐림 제주 10˚C
금융

3일 만에 2조...4대 시중은행으로 몰린 돈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아현 기자
2022-01-20 10:23:25

기준금리 1%→1.25% 인상

[사진=픽사베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한 가운데 시중은행들이 줄줄이 예∙적금 금리 인상에 나섰다. 금리 인상 후 3영업일 만에 4대 은행 정기예금에 2조4000억원 이상의 시중 자금이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은행권에 따르면 4대 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의 정기예금 잔액은 19일 기준 516조5330억원을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1%에서 1.25%로 올리기 전날(13일)과 비교하면 2조4146억원이 늘어난 것이다.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기존 1%에서 1.25%로 0.25%포인트 인상하자 4대 은행은 예∙적금 금리를 상향 조정했다. KB국민은행은 이날부터 예∙적금 금리를 최대 0.40%포인트 인상하기로 했다. 신한은행과 이달 17일부터 금리를 최대 0.40%포인트, 0.30%포인트씩 올렸다. 하나은행은 이달 18일부터 예∙적금 금리를 최대 0.30%포인트 인상했다.
 
앞서 은행들은 기준금리 인상 전부터 꾸준히 예∙적금 금리를 올려왔다. 이에 따라 지난해 12월 20일 기준 예금은 2%, 적금은 3.6%까지 상승했다. 이번 인상까지 더해지면 시중은행 적금금리 상단은 4% 중반대를, 예금금리는 2% 중반대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은행으로의 자금 유입은 수신금리 인상 외에도 주식∙부동산 등 자산시장의 수익성이 감소한 영향도 있다.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의 확산으로 안전한 투자처를 선호하는 현상이 뚜렷해졌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해 8월 약 16조원에 달했던 코스피 일평균 거래대금은 12월 10조원 밑으로 떨어졌다.
 
금융권에서는 한국은행이 올해 기준금리를 2차례 추가 인상해 1.75%까지 치솟을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금리 추가인상을 단행하면 은행으로 몰리는 유동 자금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달 14일 기자간담회에서 “기준금리를 1.25%로 올렸지만 성장과 물가 상황, 앞으로의 전망 등을 고려해보면 지금도 실물 경제 상황에 비해 여전히 완화적인 수준이라고 판단하고 있다”며 “기준금리를 1.5%로 높여도 긴축으로 볼 수 없다”고 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KB국민은행
db
삼성증권
스마일게이트
카카오
우리은행
교촌
kb금융그룹
하이닉스
롯데캐슬
신한은행
DB손해보험
NH투자증
삼성화재
포스코
신한금융지주
NH
신한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경주시
하나금융그룹
SC제일은행
삼성전자
한화
한국투자증권
씨티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