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이징=신화통신)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들이 12일 '솽스이(雙十一·11월 11일)' 성적표를 잇따라 발표했다. 징둥(京東)에서는 주문자 수가 40%, 주문량이 약 60% 증가했고 메이퇀(美團) 산하의 온라인 소매 플랫폼 메이퇀산거우(閃購)에서는 1인당 소비 금액이 약 30% 늘었다. 또한 콰이서우(快手)에서는 남성 뷰티·스키 장비 등 세분화된 제품 시장이 급성장했다.
톈마오(天猫·티몰)는 자사의 타오바오산거우(淘寶閃購) 신규 구매자 수가 이미 1억 명을 초과했다고 강조했다. 현재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5일 기준 타오바오산거우의 1만9천958개 외식 브랜드, 863개 비(非)외식 브랜드의 거래액이 솽스이 이전에 비해 10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솽스이에는 새로운 트렌드가 나타났다. 예를 들어, 남성 에센스 매출이 전년 대비 71배 이상 급증했고 '스키 5종 세트'가 선풍적 인기를 끌면서 스키복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89배 증가했다.
메이퇀산거우 데이터에 따르면 20대가 올해 솽스이 주요 구매층이었다. 아울러 ▷번개 배송 ▷무조건 할인 ▷바로 예약 ▷다양한 카테고리 ▷품목 업데이트 ▷고가 제품 등이 이번 소비 행렬을 견인했다.
특히 이번 솽스이에서는 현급 지역이 강력한 소비 시장으로 떠올랐다. 현급 시장에서 쑤닝이거우(蘇寧易購)의 온라인 판매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했다. 품목별로 보면 벽걸이 에어컨, LCD TV, 양문형 냉장고, 주방 가전 세트 매출은 각각 168%, 93%, 104%, 76% 증가했다.
한편 올해 솽스이에서는 AI의 역할이 두드러졌다. 톈마오(天猫·티몰)는 트래픽 분배, 소비자 체험, 판매자 운영 전반에 AI를 도입했다. 그 결과 상품 거래량은 30% 이상 증가했고 생성형 AI 콘텐츠(AIGC) 기능이 업그레이드 됐을 뿐만 아니라, 핑안(平安)그룹이 출시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성이관자(生意管家) 덕분에 상품의 클릭률도 10% 높아졌다. 또한 스마트 고객 서비스 스토어도 100만 개를 넘어섰다.
주커리(朱克力) 중국정보협회 상무이사이자 궈옌(國研)신경제연구원 설립원장은 소비 시장이 이번 솽스이에서 '규모 확장'에서 '품질 향상'으로 전환되는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읽혀졌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AI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소비 환경이 재편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장] 통화 중 바로 호출…LG유플러스, 익시오 AI비서 플랫폼 확장 전력투구](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13/20251113154850789319_388_136.jpg)





![[단독] 현대홀딩스, 현대네트워크 흡수합병…현정은 체제 지배 구조 단일화](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12/20251112151738303931_388_136.jpg)
댓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