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5 수요일
맑음 서울 18˚C
흐림 부산 19˚C
맑음 대구 20˚C
맑음 인천 17˚C
맑음 광주 19˚C
흐림 대전 17˚C
구름 울산 17˚C
흐림 강릉 14˚C
구름 제주 20˚C
IT

네이버, AI 업고 사상 첫 분기 매출 3조 돌파…"피지컬 AI에 미래 성장 동력 확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선재관 기자
2025-11-05 12:22:25

3분기 매출액 3조1381억원, 영업이익 5706억원 기록

최수연, 엔비디아 손잡고 '초격차' 노린다

'AI가 돈이 된다'는 것을 숫자로 증명

'피지컬 AI'라는 더 큰 판에 베팅

최수연 네이버 대표 사진네이버
최수연 네이버 대표 [사진=네이버]

[이코노믹데일리] 네이버가 인공지능(AI)이라는 강력한 엔진을 장착하고 사상 처음으로 분기 매출 3조원, 영업이익 5700억원의 벽을 돌파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검색, 커머스 등 핵심 사업 전반에 AI를 접목한 'On-Service AI' 전략이 실질적인 수익 창출로 이어지고 있음을 숫자로 증명해낸 것이다.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네이버는 엔비디아와의 동맹을 바탕으로 차세대 먹거리인 '피지컬 AI' 분야에 1조원 이상의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겠다고 선언하며 미래 AI 패권 경쟁에서도 결코 밀리지 않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드러냈다.

네이버는 5일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3조1381억원, 영업이익 5706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시장의 예상을 훌쩍 뛰어넘는 '어닝 서프라이즈'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5.6%, 영업이익은 8.6% 증가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이날 컨퍼런스 콜에서 "올해 3분기는 콘텐츠와 데이터에 AI 기술을 더하며 서비스와 수익화 고도화로 새로운 성장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한 분기"라고 자평했다.

이번 호실적의 일등 공신은 단연 'AI'였다. 서치플랫폼 부문은 지난 3월 도입한 'AI 브리핑' 기능 사용자가 3000만명을 넘어서는 등 AI 기반 검색 경험 강화에 힘입어 견조한 성장을 이어갔다. 커머스 부문은 AI 개인화 추천을 강화하며 무려 35.9%의 폭발적인 성장률을 기록, 네이버의 핵심 캐시카우로 자리매김했다.

네이버는 현재의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AI 기술 적용을 더욱 공격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최 대표는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홈 지면의 AI 개인화 적용 비중을 현재 31%에서 80%까지 대폭 확대할 계획"이라며 "사용자 록인(lock-in) 효과 극대화, 체류시간과 구매 전환율 개선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나아가 2026년 상반기 '쇼핑 AI 에이전트'를 시작으로 검색과 외부 서비스를 아우르는 '통합 에이전트'까지 순차적으로 선보이며 AI 시대를 완벽하게 주도하겠다는 포부다.

 
네이버 각 세종 데이터센터 서버실사진네이버클라우드
네이버 '각 세종' 데이터센터 서버실.[사진=네이버클라우드]

역대급 실적 발표와 함께 공개된 미래 전략은 더욱 야심 찼다. 네이버는 차세대 먹거리로 '피지컬 AI'를 낙점하고 GPU 등 인프라 구축에 1조원 이상을 투자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는 지난 10월 31일 이해진 의장과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이재명 대통령 앞에서 맺은 MOU의 구체적인 실행 계획이다. 

네이버는 엔비디아로부터 최신 블랙웰 아키텍처 기반 GPU 6만장을 공급받아 현실과 디지털 공간을 연결하는 '피지컬 AI 플랫폼'을 공동 개발하고 이를 반도체·조선 등 국가 주력 산업에 적용할 방침이다.

김희철 최고재무책임자(CFO)는 구체적인 투자 규모까지 언급했다. "올해 GPU 포함 전체 인프라 투자액을 1조원 단위로 예상한다"며 "2026년 이후 피지컬 AI 등 신규사업 확대를 감안하면 GPU에만 1조원 이상 투자가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단순한 연구개발을 넘어 본격적인 사업화를 염두에 둔 대규모 '실탄' 투입임을 시사한다. 또한 그는 "미래 선제 투자 외에도 공공기관이나 민간에 공급하는 서비스형 GPU(GPUaaS) 등 수익 연동 투자도 예상하기 때문에 이를 종합적으로 감안해 재무적으로 허용되는 선에서 적극적인 투자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여 투자의 지속 가능성과 수익 모델까지 고려하고 있음을 내비쳤다.

최수연 대표는 “‘On-Service AI’ 방향성 아래 서비스와 사업 전반의 AI 기반 고도화에 집중한 결과 비즈니스 기회 확대 및 수익 창출로 이어지는 성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현재의 성공을 진단했다. 

이어 “다가오는 AI 에이전트 환경에 맞춰 더 넓은 분야로 AI 접목을 확대하며 핵심 경쟁력을 제고하는 동시에 글로벌 확장을 위한 미래 성장 동력 발굴에도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On-Service AI'로 현재의 수익성을 증명하고 '피지컬 AI'라는 더 큰 판에 베팅하며 미래 성장판을 여는 네이버의 'AI 투트랙' 전략이 본격적인 궤도에 올랐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삼성화재
DB손해보험
롯데캐슬
스마일게이트
삼성증권
신한은행
경주시
삼성전자
하나금융그룹
신한투자증권
NH투자증
SC제일은행
한화
교촌
신한금융지주
kb금융그룹
NH
우리은행
db
한국투자증권
포스코
카카오
씨티
한화투자증권
KB국민은행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