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01.07p(0.65%) 하락한 4만5952.54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1.99p(0.63%) 떨어진 6629.07에 나스닥종합지수는 107.54p(0.47%) 내린 2만2562.54에 장을 마쳤다.
이날 증시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당국자 금리 인하 발언과 대만 반도체 기업인 TSMC 호실적에 힘입어 상승 출발하다 오후 들어 지역 은행 부실 우려 여파로 하락 마감했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뉴욕에서 열린 외교관계위원회 모임 연설을 통해 "노동 시장에 대한 모든 데이터를 바탕으로 10월말 금리를 0.25%p 낮춰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견고한 GDP(국내총생산) 데이터가 약화하는 노동 시장과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지 살펴볼 것"이라고 덧붙였다.
장 초반 TSMC 3분기 순이익이 4523억 대만달러(약 21조원)를 기록하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는 소식도 발표되자 지수는 급등세를 보였다.
그러나 오후 들어 지역은행 부실 대출 문제가 불거지며 지수는 급락했다. 장 초반 0.96%까지 올랐던 나스닥 지수는 -1.17% 가까이 하락했다.
미국 지역은행인 자이언스 뱅코프는 자회사 캘리포니아 뱅크앤드트러스트가 취급한 상업·산업 대출 중 5000만달러 규모를 회계상 손실로 처리했다고 밝혔다.
또 다른 지방은행인 웨스턴얼라이언스뱅코프(WAB)도 캔터그룹에 대한 선순위 담보권을 행사하지 못했다고 발표했다.
두 은행은 모두 최근 파산한 자동차 부품업체 퍼스트 브랜드 그룹에 대한 위험노출액(익스포져)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은행 부실 공포는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회장 발언과 맞물리며 더욱 커졌다. 다이먼 회장은 3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최근 자동차 담보대출 업체 트라이컬러가 파산한 것과 관련해 "바퀴벌레가 한 마리 나타났다면 아마도 (실제로는) 더 많을 것"이라며 "모두 미리 경계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10월 기준금리가 50bp 인하될 확률이 한 달 만에 다시 등장했다. 50bp 인하 확률은 5.3%로 반영됐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 대비 4.67p(22.63%) 급등한 25.31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