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믹데일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정부 전산망이 마비된 가운데 민간 클라우드 기업들이 복구 과정의 구원투수로 나설 전망이다. NHN클라우드가 최근 정부의 상위 등급 클라우드 보안인증을 획득하면서 삼성SDS, ,KT클라우드와 함께 복구 작업에 참여할 길이 열렸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NHN클라우드는 지난 26일 정부로부터 국가 클라우드 보안 기준 적합 인증을 취득했다. 정부는 현재 화재로 전소된 96개 시스템을 대구센터의 민관협력형 클라우드(PPP) 존으로 이전해 복구를 추진 중이다. 이 과정에서 보안인증을 통과한 민간 기업들의 인프라와 기술력이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태는 정부의 ‘반쪽짜리’ 재난복구(DR) 시스템이 근본 원인으로 지목된다. 정부는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실시간으로 시스템을 복제해 운영하는 ‘액티브-액티브’ 이중화 체계를 갖추지 못했다. 이는 3년 전 카카오 먹통 사태 이후 민간 기업에는 강력하게 요구했던 사항이다.
전문가들은 반복되는 전산망 마비를 막기 위해 미국처럼 기술력이 뛰어난 민간 클라우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정부가 보안이 중요한 핵심 시스템은 직접 운영하되 민원 서비스 등 일반 시스템은 보안인증을 통과한 민간 클라우드를 활용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NHN클라우드 관계자는 “정부의 행정 서비스 이관 업무에 잘 협조해 사태의 빠른 수습에 도움이 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