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경제] 하늘을 나는 발전소..中 메가와트급 공중 풍력 발전시스템 첫 시험비행 성공
기사 읽기 도구
공유하기
기사 프린트
글씨 크게
글씨 작게
2025.09.25 목요일
맑음 서울 23˚C
흐림 부산 24˚C
흐림 대구 24˚C
맑음 인천 23˚C
흐림 광주 23˚C
흐림 대전 24˚C
흐림 울산 23˚C
흐림 강릉 22˚C
흐림 제주 25˚C
신화통신

[경제] 하늘을 나는 발전소..中 메가와트급 공중 풍력 발전시스템 첫 시험비행 성공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周舟,刘欣(一读),徐速绘
2025-09-25 16:48:13
지난 1월 7일 산둥(山東)성 라이저우(萊州)시 해역에서 포착된 해상풍력 터빈. (사진/신화통신)

(베이징=신화통신) 중국이 독자 개발한 공중 풍력 발전 시스템 'S1500'이 최근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 하미(哈密)시에서 첫 시험비행에 성공했다.

베이징 린이윈촨(臨一雲川)에너지기술(이하 린이윈촨)에 따르면 S1500은 비행선과 유사한 형태의 메가와트급 상업용 공중 발전 시스템이다. 길이 60m, 폭 40m, 높이 40m의 이 비행선은 지금까지 제작된 공중 풍력 발전 장치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크다.

S1500의 메인 에어포일과 환형 날개가 함께 거대한 덕트를 형성하며, 그 안에는 100㎾(킬로와트) 발전기 세트 12기가 탑재돼 있다. 높은 고도에서 안정적으로 부는 제트기류를 이용하는 해당 장치는 회전날개가 바람을 전기에너지로 전환하고, 발전된 전력은 계류 케이블을 통해 지상으로 전송된다.

기존 육상 풍력 발전기와 달리 공중 풍력 발전 시스템은 거대한 타워가 필요 없고 기본 구조가 단순하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자재 사용은 40% 절감하고 발전 단가는 30% 낮출 수 있다. 또한 몇 시간 만에 전체 설비를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있어 사막, 섬, 광산 등 지역에서도 전력 발전이 가능하다.

해당 시스템은 린이윈촨이 칭화(清華)대학, 중국과학원 항공정보혁신연구원(AIR) 등 연구기관과 공동 개발했다.

웡한커(翁翰鈳) 린이윈촨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응급 구조, 스마트 매핑, 도시 안전 등 저고도 경제에 응용하기 위해 이 같은 공중 플랫폼을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지진이나 홍수 발생 시 신속히 하늘로 띄우면 전등, 무전기, 생명 구조 장비를 계속해서 작동시킬 수 있다.

지상 500~1만m 사이에서 꾸준히 부는 바람은 아직 본격적으로 개발되지 않은 마지막 거대 에너지원 중 하나로, 풍부하고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완전한 무탄소 자원이다. 이 같은 바람은 지상보다 훨씬 강하고 안정적이며, 지상 풍속의 몇 배에 달하는 경우가 많다.

궁쩌치(宮澤奇) 중국과학원 항공정보혁신과학원 에어로스탯 고고도 발전 프로젝트 책임자는 "풍속이 두 배가 되면 바람이 지닌 에너지는 8배로 늘고, 세 배가 되면 27배의 에너지가 생긴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우리은행
kb캐피탈
동아쏘시오홀딩스
DB그룹
롯데케미칼
현대
삼성증권
신한은행
농협
KB국민은행_1
다올투자증권
빙그레
대신증권
KB국민은행_3
삼성물산
GC녹십자
컴투스
하나금융그룹
신한라이프
바이오로직스
한국증권금융
KB금융그룹_1
우리은행
미래에셋
콜마
KB금융그룹_3
우리은행
신한카드
KB국민은행_2
하이닉스
한화
우리은행
kt
KB금융그룹_2
신한라이프
한국토지주택공사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