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믹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내달 말 한국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6년여 만에 마주 앉기로 전격 합의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계속됐던 양국의 극한 대립 국면이 중대한 전환점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양 정상은 이번 회동에 앞서 전화 통화를 통해, 최대 현안이었던 ‘틱톡 매각’ 문제에 대해 사실상 합의를 이끌어내며 화해 분위기를 조성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시 주석과의 전화 통화 직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을 공개했다. 그는 “시 주석과 한국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서 만나기로 합의했다”며 “양측 모두 APEC에서의 만남을 고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두 정상의 대좌는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처음이자 2019년 6월 일본 오사카 G20 정상회의 이후 6년 5개월 만이다. 이번 회동이 정식 회담이 될지 약식 회동이 될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세계 경제와 안보의 향배를 가를 ‘세기의 담판’이 대한민국 경주에서 열리게 되면서 이번 APEC 정상회의는 올해 최대의 외교 이벤트로 급부상했다.
◆ '틱톡' 빅딜 성사…2시간 통화로 이룬 극적 타결
이번 정상회담 합의의 배경에는 양국 간 최대 갈등 요인이었던 ‘틱톡 매각’ 문제의 극적인 타결이 있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시 주석과 거의 2시간 동안 통화했다며 “매우 좋은 대화였다”고 밝혔다. 그는 “무역, 펜타닐,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 종식 필요성 그리고 틱톡 매각 승인을 포함한 많은 이슈에 대해 진전을 이뤘다”고 전했다.

특히 틱톡 매각과 관련해서는 “난 시 주석에게 감사하고 싶다. 그는 신사였다”고 말하며 사실상 합의가 이뤄졌음을 시사했다. 중국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 역시 “중국 정부는 기업의 의사를 존중한다”며 “기업이 시장 규칙에 부합하는 해결 방안에 이르는 것을 환영한다”고 밝혀 틱톡의 미국 사업권 매각을 용인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틱톡 매각은 오라클 등 미국 투자자 컨소시엄이 지분 약 80%를 인수하고 미국인 주도의 이사회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마무리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매각 협상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지난 16일 ‘틱톡 금지법’의 시행 유예 기한을 오는 12월 16일까지 연장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바 있다.
해빙 무드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가 내년 초 중국을 방문하고 시 주석도 마찬가지로 적절한 시기에 미국으로 오는 것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미 대통령의 방중은 2017년 11월 트럼프 대통령의 첫 방중 이후 8년여 만에 시 주석의 방미는 2017년 4월 이후 8년여 만에 이뤄지게 된다.
양 정상의 ‘경주 대좌’와 내년 상호 방문을 통해 그동안 세계 경제를 짓눌렀던 미중 간 ‘관세 전쟁’, 반도체·희토류 등 핵심 품목에 대한 상호 수출 통제 그리고 대만 해협 등 아태 지역의 군사적 긴장 등 ‘신냉전’ 시대의 갈등 현안들이 대화 국면으로 전환될 수 있을지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