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에 따르면 8월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2020년=100)는 135.21로 전월(134.84) 대비 0.3% 상승했다. 수입물가지수는 2월부터 5개월 연속 하락하다가 7월 0.8% 반등한 데 이어 두 달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품목별로는 중간재가 컴퓨터·전자·광학기기(1.1%)과 화학제품(0.7%) 등이 오르면서 0.5% 상승했다. 자본재와 소비재도 각각 0.7%씩 올랐다. 반면 원재료는 원유 등 광산품(-0.7%)을 중심으로 0.4% 하락했다.
세부 품목으로는 커피(13.4%)와 안료(3.8%), 기타귀금속정련품(2.4%), 플래시메모리(1.0%), 냉동수산물(1.1%) 등의 상승폭이 컸다.
한은은 국제유가 하락에도 원·달러 환율 상승이 수입물가 상승을 견인했다고 분석했다. 원·달러 환율은 7월 평균 1375.22원에서 8월 1389.66원으로 1.1% 상승했다. 같은 기간 두바이유 가격은 배럴당 70.87달러에서 69.39달러로 2.1% 하락했다.
지난달 수출물가지수(원화 기준)도 전월(127.86) 대비 0.7% 오른 128.73을 기록해 두 달 연속 상승했다. 농림수산품이 1.1% 올랐고 공산품도 컴퓨터·전자·광학기기(1.3%) 등을 중심으로 0.7% 상승했다.
8월 순상품교역조건지수(94.48)는 전년 동월 대비 2.9% 올라 26개월 연속 상승세를 유지했다. 수입가격(-5.9%)이 수출가격(-3.2%)보다 더 크게 하락한 결과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수출입 물가는 유가와 환율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9월 들어 현재까지 두바이유 가격은 전월 대비 소폭 상승했고 환율은 전월 대비 보합 수준"이라며 "아직은 변동폭이 크게 나타나지 않고 있어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2025APEC] 젠슨 황 AI허브한국 획기적 제안에…李대통령 엔비디아 투자 전폭지원](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31/20251031204345614729_388_136.jpg)
![[2025APEC] APEC K만찬…李대통령 만파식적 화음, 아태 평화로 이어질 것](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31/20251031211045776787_388_136.jpg)
![[2025APEC] 엔비디아, 韓에 GPU 26만장 푼다…삼성·SK·현대차와 AI 동맹](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31/20251031162825722484_388_136.png)




![[2025APEC] 현대차그룹, 엔비디아와 AI 역량 고도화 MOU 체결](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31/20251031161154342509_388_136.png)


댓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