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차이나 트렌드] 버릴 것 하나 없는 사탕수수...中 광시·윈난, 순환경제로 고부가가치 창출
기사 읽기 도구
공유하기
기사 프린트
글씨 크게
글씨 작게
2025.09.12 금요일
서울 21˚C
흐림 부산 24˚C
흐림 대구 24˚C
인천 22˚C
흐림 광주 24˚C
흐림 대전 23˚C
흐림 울산 24˚C
강릉 20˚C
구름 제주 27˚C
신화통신

[차이나 트렌드] 버릴 것 하나 없는 사탕수수...中 광시·윈난, 순환경제로 고부가가치 창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陈露缘,赵欢,胡了然,熊轩昂,陈欣波
2025-09-12 19:05:10

(중국 난닝=신화통신) 중국의 주요 사탕수수 생산지인 광시(廣西)좡족자치구, 윈난(雲南)성 등지에서 사탕수수가 순환경제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류강(劉剛) 중난(中南)대학 교수에게 설탕을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인 사탕수수 찌꺼기는 보물과 같다. "사탕수수 찌꺼기는 특별한 가공을 거쳐 바이오매스 유래 다공성 탄소소재로 재탄생할 수 있다"면서 "이 소재의 발달된 구멍 구조는 스펀지처럼 이온을 흡착해 전하를 저장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런 특성 덕분에 사탕수수 찌꺼기는 슈퍼커패시터 전극의 이상적인 소재라고 부연했다.

류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광시 충쭤(崇左)시에 위치한 중난대학 신질 생산력 산업 기지에서 사탕수수 찌꺼기를 활용한 커패시터 전극용 탄소소재 파일럿 테스트 라인의 안정성 문제 해결에 주력하고 있다. 그는 고속 충전·방전이 가능한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한 시장 수요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궤도교통, 풍력발전, 신에너지차 등 영역에서 슈퍼커패시터의 응용 범위가 갈수록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광시(廣西)좡족자치구 충쭤(崇左)시에 위치한 중난(中南)대학 신질 생산력 산업 기지에 사탕수수 찌꺼기로 만든 커패시터 전극용 탄소소재의 단계별 제품이 전시돼 있다. (사진/신화통신)

윈난성에서도 사탕수수의 '잠재력'이 발산되고 있다. 린창(臨滄)시 겅마(耿馬)다이(傣)족와(佤)족자치현은 윈난성의 사탕수수 최대 생산지로 재배면적이 약 267㎢에 달한다.

겅마산업단지에 위치한 뤼싸이커(綠賽可)신소재(윈난)회사의 사탕수수 생산라인은 양질의 백설탕, 흑설탕을 생산하는 동시에 사탕수수 찌꺼기를 친환경 소재 작업장으로 보낸다. 이 찌꺼기는 자동화 생산라인에서 분쇄, 성형, 건조 등 공정을 거쳐 생분해 식기, 포장 재료로 재탄생한다.

퉁친룽(童勤榮) 뤼싸이커신소재(윈난)회사 회장은 "사탕수수 찌꺼기를 친환경 생분해 식기로 전환함으로써 새로운 녹색 산업의 길을 걷고 있다"며 "자사의 제품은 이미 의료 용품, 반려묘 화장실 모래 등 분야로까지 확장되었으며, 시장이 계속 확대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4월 15일 윈난(雲南)성 린창(臨滄)시에 위치한 뤼싸이커(綠賽可)신소재(윈난)회사의 제품 전시홀에서 한 작업자가 생분해성 식기 샘플을 검사하고 있다. (사진/신화통신)

당즙을 짜고 남은 당밀 역시 순환경제 '트랙'을 달리고 있다.

류페이둥(劉佩東) 안치(安琪)효모(충쭤)회사 사장조리는 "매년 25만t(톤)에 가까운 당밀이 필요하다"면서 해당 회사가 연구개발한 각종 상품은 세계 130여 개 국가(지역)로 수출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당밀을 찾아 상하이에서 광시로 온 바라이(芭萊)치바오(柒寶)럼주회사 관계자는 충쭤에서 매년 럼주 양조에 필요한 30만t의 당밀을 공급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회사가 투자한 순환경제 산업단지 1기 프로젝트가 지난 3월 시범 생산을 시작했고 가동 후 연간 생산액은 5억 위안(약 975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자오단(趙丹) 충쭤시 농업농촌국 부국장은 시 전체의 당밀 생산량은 약 60만t에 달하며 그중 효모 및 기타 추출물 생산에 사용되는 당밀은 46만t 정도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처치 곤란이었던 당밀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앞으로는 인근 지역에서 당밀을 공수해야 할 정도"라고 덧붙였다.

관련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충쭤시 설탕산업의 순환경제 생산액은 54억 위안(1조53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2.15% 늘어난 수치로 충쭤시 자당 산업 전 산업사슬의 종합 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3.99%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대신증권
KB국민은행_2
한국토지주택공사
우리은행
하나금융그룹
삼성물산
우리은행
DB그룹
콜마
미래에셋
한화
kt
신한카드
우리은행
하이닉스
컴투스
KB국민은행_3
신한은행
KB금융그룹_2
현대
KB금융그룹_1
NH농협은행
KB금융그룹_3
우리은행
과실비율정보포털
KB국민은행_1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