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믹데일리] “AI 혁신을 고려한다면 믿을 수 있는 IT 파트너는 필수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이준희 삼성SDS 대표가 기업 혁신의 새로운 열쇠로 ‘인공지능(AI) 에이전트’를 제시하며 복잡한 AI 전환(AX) 여정에서 전문성과 경험을 갖춘 파트너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이 대표는 1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리얼 서밋 2025’ 기조연설에서 “생성형 AI는 챗GPT 등장 이후 단 2년 만에 미국 기업의 95%가 비즈니스에 활용할 정도로 빠르게 확산됐다”며 “이제는 단순한 어시스턴트를 넘어 상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실제 업무까지 대신 수행하는 AI 에이전트가 기업 혁신의 핵심이 되고 있다”고 선언했다.
그는 출장 항공권 예약 사례를 들어 기존 AI와 AI 에이전트의 차이를 명확히 설명했다. “기존 AI는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계속 입력해야 예약을 도와줄 수 있었지만 AI 에이전트는 단 한 번의 요청만으로 과거 이용 내역과 선호도를 분석해 가장 적합한 항공편을 찾아내고 예약 절차까지 자동으로 처리합니다. 사용자는 최종 결정만 내리면 됩니다.”
하지만 이 대표는 AI가 제공하는 기회만큼 도입 과정에서 넘어야 할 벽도 크다고 지적했다. 그는 “AI와 클라우드에서 다루게 되는 기업 데이터는 방대하고 복잡하며 여기에 보안 문제까지 겹치면 혁신을 추진하는 일이 결코 쉽지 않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삼성SDS만의 ‘풀스택(Full-stack)’ 전략을 공개했다.
삼성SDS는 △강력한 AI 클라우드 인프라 △다양한 언어 모델과 기업 시스템을 연결하는 플랫폼 ‘패브릭스(FabriX)’ △AI 기반 협업 솔루션 ‘브리티 코파일럿(Brity Copilot)’ △업무 프로세스 자동화 솔루션 ‘브리티 오토메이션(Brity Automation)’을 통해 기업의 AI 전환을 전방위적으로 지원한다.
이 대표는 “풀스택 기술뿐만 아니라 오랜 기간 축적한 컨설팅 역량과 시스템 구축 경험까지 더해 우리는 고객의 AI 혁신을 가장 잘 도와드릴 수 있는 파트너”라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그는 또한 지난 7월 SAP와 국내 최초로 체결한 ‘프리미엄 서플라이어 파트너십’을 언급하며 삼성SDS의 검증된 AI·클라우드 역량과 글로벌 위상을 강조했다.
이준희 대표는 연설을 마무리하며 “AI는 더 이상 먼 미래가 아니다. 지금 이 순간 기업이 성과로 연결해야 할 혁신의 도구”라며 “더 많은 기업들이 AI 혁신을 이뤄가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