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를린=신화통신) 미국 상호관세 등 요인에 따른 충격으로 독일 자동차 산업이 심각한 시험대에 올랐다.
글로벌 회계 컨설팅 기업인 어스트앤영(EY)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독일 자동차 산업에서 지난 1년간 약 5만1천500개의 일자리가 순감소했다. 이는 전체 일자리의 약 7%에 해당하는 규모로, 자동차가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업종으로 꼽혔다.
독일 현지 언론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으로 독일산 제품의 미국 내 판매 가격이 높아졌다고 짚었다. 해당 여파로 메르세데스 벤츠, 폭스바겐 등 자동차 제조업체를 비롯해 보쉬, 콘티넨탈 AG, ZF 등 독일 유명 자동차 부품 공급사가 잇따라 지출 절감 계획을 발표했다. 또한 포르쉐는 산하 배터리 사업 규모를 대폭 축소할 계획이다.
EY 보고서에 따르면 6월 30일 기준 독일 공업 부문 일자리가 전년 동기 대비 2.1%(약 11만4천개) 줄었다. EY는 향후 상당 기간 독일 공업 고용 감소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올해 2분기 독일 공업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2.1% 감소해 8분기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독일 공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관세 정책뿐만 아니라 높은 에너지 가격, 내수 수요 부진 등이 업계 발전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EY 관계자는 독일의 대(對)미 수출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최근 산업 전반에 뚜렷한 충격을 주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