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믹데일리] KT가 정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프로젝트’에 출사표를 던지며 공공·의료 분야의 실증 데이터와 글로벌 석학의 자문을 결합한 초강력 ‘AI 원팀’을 공개했다.
23일 KT는 솔트룩스, 크라우드웍스 등 AI 전문기업은 물론 경찰청과 고려대의료원 등 실제 수요 기관까지 아우르는 민관학 연합체를 구성해 ‘모두를 위한 한국적 AI, K-믿음’이라는 비전 실현에 나선다.
KT 컨소시엄의 가장 큰 차별점은 ‘실증 데이터’와 ‘실수요 기관’의 참여다. 경찰청은 일선 현장에서 축적된 방대한 사건 기록과 영상 등 고품질 치안 데이터를 제공, 이를 ‘예방적 치안’ 모델 개발에 활용할 계획이다. 고려대의료원 역시 국내 최고 수준의 임상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AI 연구 중심 의료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공공과 의료 현장의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실용적 AI’를 만들겠다는 KT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기술적 깊이와 신뢰성을 더하기 위해 세계적인 석학들도 자문단으로 참여한다. AI의 판단 근거를 설명하는 ‘설명가능 AI(XAI)’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이수인 워싱턴대 교수가 AI 모델의 신뢰성 확보를, AI 반도체 분야 권위자인 위구연 하버드대 교수가 AI 인프라 경쟁력 강화를 돕는다. 이는 AI의 고질적인 문제인 ‘환각(Hallucination)’ 현상을 최소화하고 기술적 완성도를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이다.
컨소시엄 구성 역시 화려하다. 자체 AI 모델 ‘믿음’을 개발한 KT를 주축으로 한국어 AI 프로젝트 ‘엑소브레인’을 주관한 솔트룩스, 데이터 전문기업 크라우드웍스, 수학 특화 AI 1위 매스프레소, 피지컬 AI 전문 투모로 로보틱스 등이 힘을 합쳤다. 또한 리벨리온, 모빌린트 등 국내 대표 AI 반도체 기업들과의 협력 체계도 구축했다.
KT는 "각 분야 최고의 전문가로 구성된 AI 원팀이 대한민국 국가 대표 AI 기술뿐만 아니라 국내 AI 대중화와 생태계 확산까지 선도하는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 수요 기반의 접근과 글로벌 수준의 기술 자문을 결합한 KT 컨소시엄이 국가대표 AI 선발전에서 어떤 파급력을 보일지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