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경제+] 中 이커머스, '기회의 땅' 아프리카 공략...물류창고, 산업단지 조성 등 활발
기사 읽기 도구
공유하기
기사 프린트
글씨 크게
글씨 작게
2025.11.14 금요일
맑음 서울 3˚C
맑음 부산 6˚C
맑음 대구 5˚C
맑음 인천 8˚C
맑음 광주 7˚C
맑음 대전 6˚C
맑음 울산 9˚C
맑음 강릉 9˚C
맑음 제주 15˚C
신화통신

[경제+] 中 이커머스, '기회의 땅' 아프리카 공략...물류창고, 산업단지 조성 등 활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柳王敏,张格,陈振海
2025-06-17 17:16:13
지난 14일 '제4회 중국-아프리카 경제무역 박람회'에서 농기계를 살펴보는 관람객. (사진/신화통신)

(중국 창사=신화통신) 중국 전자상거래 업계가 '기회의 땅' 아프리카를 공략하고 있다.

중국 회사 킬리몰(Kilimall)은 아프리카 이커머스에 가장 먼저 진출한 업체다. 양타오(楊濤) CEO에 따르면 회사는 이미 케냐, 우간다, 탄자니아 등 국가에 대형 해외 물류창고를 두고 있으며 1천500개가 넘는 지역사회에 셀프 픽업 포인트를 만들었다. 킬리몰의 앱 다운로드 횟수는 매해 50%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케냐 수도 나이로비에 위치한 킬리몰의 물류창고. 중국 등 다양한 국가의 제품을 포장하는 직원들의 손길이 분주하다. 이곳의 물류 총책임자 관쥔치(關俊奇)는 중국과 아프리카의 활발한 무역 왕래로 아프리카에 진출하려는 중국 기업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고 설명하며 회사가 해외 물류창고를 확장해 물류 효율을 높일 계획에 있다고 밝혔다.

아프리카 제품을 찾는 중국인 소비자도 늘고 있다. 후난(湖南)성 창사(長沙)는 중국∙아프리카 라이브방송 전자상거래 인큐베이션 센터를 통해 아프리카의 우수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14일 '제4회 중국-아프리카 경제무역 박람회'가 열리는 창사(長沙)국제컨벤션센터를 찾은 관람객들이 농기계를 알아보고 있다. (사진/신화통신)

창사시는 '시장 구매+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모델의 산업단지를 조성했다. 한 관계자는 소비자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높은 가성비를 자랑하는 제품을 빨리 찾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아프리카 일부 지역의 인프라 개선, 스마트폰 보급률 향상 등으로 아프리카 전자상거래가 성장기를 맞이했다고 부연했다.

후난성 융저우(永州)시는 지난해 7월부터 운영하기 시작한 육로항구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센터에 아프리카를 타깃으로 한 '라이브방송 전자상거래+홈쇼핑+산업 연동형' 무역 모델을 도입했다.

융저우 육로항구허브투자발전그룹 측은 융저우가 해상-철도 연계 운송을 핵심으로 지역 간 물류 네트워크를 완비했다고 밝혔다. 이어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융저우의 특산품 및 통신기기 등 제품을 집중 소개하고, '산업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한 글로벌 구매자와 실시간 온라인 연결 등으로 중∙아프리카 협력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전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씨티
하이닉스
하나금융그룹
신한투자증권
한화
삼성전자
NH
SC제일은행
우리은행
스마일게이트
db
신한금융지주
포스코
NH투자증
한국투자증권
교촌
롯데캐슬
경주시
DB손해보험
삼성화재
한화투자증권
kb금융그룹
카카오
삼성증권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