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CES 2025] 엔비디아, 로봇·자율주행 개발 혁신 가속화…물리적 AI 플랫폼 '코스모스' 공개
기사 읽기 도구
공유하기
기사 프린트
글씨 크게
글씨 작게
2025.11.03 월요일
맑음 서울 6˚C
맑음 부산 9˚C
구름 대구 8˚C
맑음 인천 5˚C
맑음 광주 10˚C
맑음 대전 9˚C
맑음 울산 12˚C
흐림 강릉 9˚C
구름 제주 12˚C
산업

[CES 2025] 엔비디아, 로봇·자율주행 개발 혁신 가속화…물리적 AI 플랫폼 '코스모스' 공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선재관 기자
2025-01-07 16:23:31

젠슨 황 CEO, CES 2025 기조연설서 "물리적 AI 민주화 촉진" 강조

2천만 시간 분량 영상 14일 만에 처리…로봇 개발 시간 단축 기대

엔비디아 젠슨 황 CEO CES 2025 기조연설 사진연합뉴스
엔비디아 젠슨 황 CEO, 'CES 2025' 기조연설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인공지능(AI) 칩 분야의 선두주자인 엔비디아가 6일(현지시간) 로봇과 자율주행차 개발을 획기적으로 가속화할 새로운 플랫폼 ‘코스모스(Cosmos)’를 공개하며 주목받고 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CES 2025 기조연설에서 “물리적 AI 개발의 민주화를 촉진할 것”이라고 강조하며 코스모스의 출시를 발표했다. 

물리적 AI는 로봇, 자율주행차 등 물리적 세계와 상호작용하는 AI 시스템을 의미한다. 코스모스는 이러한 시스템들이 방대한 양의 실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젠슨 황 CEO는 “물리적 AI 모델은 개발 비용이 높고, 방대한 실제 데이터와 테스트가 필수적”이라며 코스모스가 개발자들에게 이러한 데이터를 손쉽게 생성하고 맞춤형 모델을 구축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코스모스는 최신 생성형 AI 모델, 텍스트를 모델이 이해할 수 있는 작은 단위인 토큰으로 분리하는 도구인 최신 토크나이저, 그리고 데이터 처리를 가속화하는 영상 처리 파이프라인으로 구성된다.

특히 이 플랫폼은 2천만 시간 분량의 영상을 단 14일 만에 처리할 수 있는 놀라운 속도를 자랑한다. 이는 CPU만 사용하는 경우 3.4년이 걸리는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하는 혁신적인 성능이다. 또한 토크나이저의 처리 속도 역시 기존 방식보다 12배 더 빠르다고 황 CEO는 강조했다.

황 CEO는 “로봇 공학 분야에 챗GPT와 같은 혁신이 다가오고 있다”며 “대규모 언어 모델(LLM)처럼 코스모스는 로봇 및 자율주행차 개발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애자일로봇, 피규어 AI, 뉴라 로보틱스, 애질리티, 힐봇 등 주요 로봇 기업들과 자율주행 스타트업 와비, 자동차 제조사 샤오펑, 차량 공유 서비스 우버 등이 이미 이 플랫폼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황 CEO는 “코스모스는 물리적 AI의 대중화를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모든 개발자가 범용 로봇 공학 기술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엔비디아가 코스모스를 통해 물리적 AI 생태계를 확장하고 혁신을 가속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하나금융그룹
신한은행
신한금융지주
신한투자증권
스마일게이트
DB손해보험
포스코
db
씨티
SC제일은행
KB국민은행
교촌
NH투자증
카카오
우리은행
삼성화재
삼성전자
한화투자증권
한화
NH
롯데캐슬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