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AI 안전성 확립·지속가능 발전 논의...에너지·환경 등 부작용 대응 방안 모색  
기사 읽기 도구
공유하기
기사 프린트
글씨 크게
글씨 작게
IT

AI 안전성 확립·지속가능 발전 논의...에너지·환경 등 부작용 대응 방안 모색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선재관
2024-05-22 16:08:56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2일 오후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AI 서울 정상회의 장관 세션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2일 오후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AI 서울 정상회의' 장관 세션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22일 오후 열린 'AI 서울 정상회의' 장관 세션에 21개국 장관급 인사와 국내외 주요 기업 19곳 고위 관계자 등이 대거 참석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과 미셸 도넬란 영국 과학혁신기술부 장관이 공동의장을 맡아 'AI 안전성 확립 역량 강화'와 '지속 가능한 AI 발전 촉진'을 주제로 논의를 이끌었다.

이 장관은 개회사에서 "지난해 영국에서 만난 이후 6개월 만에 생성형 AI는 우리 예상을 뛰어넘는 속도로 발전했고, 일상과 경제, 사회 전반에 새로운 혁신을 일으키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동시에 AI 위험과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커지며 국제사회는 관련 규범 정립을 위한 노력을 본격화하고 있다"며 "전날 정상급 합의문 '서울 선언'에서 제시된 비전을 토대로 이번 세션에서 AI 안전과 지속가능 발전을 논의하겠다"고 덧붙였다.

도넬란 장관은 "AI 발달 속도가 매우 빨라 우리도 더 빨리 행동해 안전성을 담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사회 전반이 AI 리스크에 대한 회복탄력성을 갖춰야 한다"며 "과학계 리더들이 구체적 활동계획을 내놓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22일 오후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AI 서울 정상회의 장관 세션이 진행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22일 오후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AI 서울 정상회의' 장관 세션이 진행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1세션에서는 주요국 AI 안전 연구소 설립 현황을 공유하고 글로벌 공조 방안을 논의했다. 또한 '국제 AI 과학보고서'를 바탕으로 현재와 가까운 미래의 AI 위험요인을 진단하고 안전성 강화 방안을 모색했다.  

2세션에서는 AI로 인한 에너지·환경·일자리 등 부작용에 대한 회복탄력성 확보 방안이 논의됐다. 특히 AI 운영 시 막대한 전력 소모에 대응할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저전력 반도체 등 한국의 AI 반도체 비전을 중심으로 새 글로벌 의제가 제기됐다.

이날 장관 세션에는 공동의장 외에도 세스 센터 미국 국무부 핵심·신흥기술 부특사, 슈테판 슈노르 독일 연방디지털교통부 장관, 니시다 시오지 일본 총무성 차관 등 20개국 고위인사가 참여했다. 유엔에서는 아만딥 싱 길 사무총장 기술특사가 자리했다.

해외 기업에서는 에이든 고메즈 코히어 대표이사, 앤드루 잭슨 코어42 최고책임자, 크리스티나 몽고메리 IBM 최고신뢰임원, 잭 클라크 앤트로픽 공동설립자, 나타샤 크램튼 마이크로소프트 최고AI책임자, 롭 셔먼 메타 부사장 겸 최고개인정보보호책임자 등이 참석했다.

국내에서는 전경훈 삼성전자 사장,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배경훈 LG AI연구원장 등 주요 기업 관계자들이 자리를 함께했다.  

학계와 시민사회에서도 카네기 국제평화기금 아서 넬슨 부이사관, 휴먼인텔리전스 대표 루먼 차우더리, 카이스트 오혜연 교수, 서울대 이경무 교수 등이 참가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DB그룹
신한카드
KT
교보증권
종근당
KB국민은행
삼성전자 뉴스룸
KB금융그룹2
한국조선해양
포스코
신한은행
하나금융그룹
우리은행
SK하이닉스
KB증권
롯데케미칼
수협
KB금융그룹3
신한금융그룹
KB금융그룹1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