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2 일요일
맑음 서울 8˚C
맑음 부산 9˚C
구름 대구 8˚C
흐림 인천 10˚C
흐림 광주 11˚C
구름 대전 9˚C
흐림 울산 11˚C
맑음 강릉 9˚C
흐림 제주 19˚C
금융

교통비 환급 'K-패스' 본격 시행…할인 '삼성' 연회비 'BC'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지다혜 기자
2024-04-30 17:53:23

MZ세대·수도권 거주자 사용 비중 높아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 앱에서 전환

최근 서울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A 수서역에서 승객들이 열차에서 내려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근 서울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A 수서역에서 승객들이 열차에서 내려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지하철·버스·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등 대중교통 요금을 환급해 주는 'K-패스'가 오는 1일 시행된다. 카드사들도 혜택 강화로 교통카드 유목민 확보에 나선 가운데 개인 소비 패턴을 고려해 알맞은 카드를 선택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30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K-패스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시내·마을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GTX)을 이용하면 지출 금액의 일부를 돌려받을 수 있는 카드다. 일반인 20%, 청년층 30%, 저소득층 53% 비율로 다음 달 환급된다.

국토교통부 주관의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 사업인 알뜰교통카드의 후속이다. K-패스는 이용 편의성과 적립 혜택을 강화했다. 이전처럼 이용자 이동거리에 따라 마일리지를 적립하는 방식이 아닌 별도 절차없이 일정한 적립률로 쌓을 수 있도록 변경됐다.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의 경우 추가 카드발급이나 회원가입 없이 이날(30일)까지 알뜰교통플러스 애플리케이션(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회원 전환 신청만 하면 K-패스를 사용할 수 있다.

KB국민·NH농협·BC(BC바로, 광주은행, IBK기업은행, 케이뱅크)·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DGB유페이·이동의 즐거움(모바일 이즐, 카카오페이 모바일 교통카드) 등 10개사가 협업했다.

앞서 BC카드가 기존 BC바로 알뜰교통플러스 카드 이용자를 분석한 결과, MZ세대(1980~2000년대 출생자)로 분류되는 20~40대가 76.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수도권 거주자가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카드사들도 젊은층의 사용 빈도가 높은 생활영역 혜택을 강화했다.

업계 관계자는 "카드사별로 혜택이 달라 평소 본인의 이용 패턴을 잘 살핀 후 카드를 발급받아야 한다"며 "이번 사업으로 고객들의 대중교통비 절감에 도움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먼저 할인율이 가장 큰 곳은 삼성카드다. 커피전문점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에서 20% 할인해 준다. 온라인 쇼핑에서는 3% 할인을 월 최대 8000원 지원한다. 연회비는 국내·해외 겸용 1만원, 해외전용 1만원이다.

할인 영역이 가장 다양한 곳은 신한카드다. 신한 쏠(SOL)페이를 비롯해 삼성·네이버·카카오·쿠페이 등 간편결제 이용 시에도 5% 할인이 가능하다. 그밖에 △배달앱 △편의점 △커피전문점 △이동통신 요금 △올리브영 △OTT △병원·약국업종 등에서도 5%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연회비는 국내전용 7000원, 해외전용 1만원이다.

연회비는 BC카드가 국내전용 6000원, 해외겸용 7000원으로 카드사 중 가장 저렴했다. 또 추가 대중교통 할인율도 15%로 가장 높았다. 생활영역 혜택은 OTT 15% 할인, 편의점·이동통신요금·카페 5% 할인, 해외가맹점 3% 할인 등이다.

아울러 국민카드는 신용·체크카드로 모두 발급할 수 있는 상품을 내놨다. 신용카드는 전달 30만원 이상 이용 시 △대중교통(버스·지하철) 10%(월 최대 5000원) △생활서비스 영역(이동통신·커피·약국·편의점 등) 5%(월 최대 5000원) 할인 혜택이 제공되며 연회비는 8000원이다.

농협카드는 신용카드의 경우 전월 실적에 따라 최대 2만원의 모빌리티 서비스 청구할인을 제공한다. 모빌리티 서비스에는 △버스·지하철·택시·철도 △렌터카·카셰어링 △전기차 충전 영역이 포함된다. 체크카드는 △모빌리티 서비스 캐시백(최대 5000원) △이동통신요금 5% 캐시백(최대 3000원) △커피전문점 5% 캐시백(최대 2000원) 등이 있다. 연회비는 국내 1만3000원, 해외 1만5000원이다.

하나카드의 신용카드는 △대중교통(버스·지하철) 10% 할인 △드럭스토어(올리브영·다이소) 10% 할인 △스타벅스·커피빈 10% 할인해 준다. 체크카드는 대중교통 10% 캐시백, 드럭스토어·커피전문점 1% 캐시백을 제공한다. 연회비는 국내·해외 겸용 1만7000원이다. 

우리카드도 신용·체크카드 두 가지를 선보였다. 신용카드는 △대중교통 △통신·공과금·보험 등 주요 자동납부 업종 △스타벅스 10% 청구할인을 지원한다. 체크카드는 △대중교통 3000원 캐시백 △해외이용 수수료 면제 및 해외가맹점 결제 시 1~2% 캐시백 △인천공항 라운지 무료 이용(연 2회) 등이 가능하다. 연회비는 국내전용 1만3000원, 해외겸용 1만5000원이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NH
SC제일은행
DB손해보험
신한금융지주
한화
삼성전자
하나금융그룹
삼성증권
NH투자증
한국투자증권
삼성화재
카카오
스마일게이트
KB국민은행
우리은행
씨티
db
롯데캐슬
포스코
신한투자증권
교촌
한화투자증권
신한은행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